미래에셋증권, 증권업 ‘어닝쇼크’ 프리뷰 보고서 수정 논란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증권사들의 작년 4분기 실적 프리뷰 보고서를 내며 ‘어닝쇼크’ 등의 내용을 넣었다가 삭제해 논란이 되고 있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의 연구원이 7일 작성한 삼성증권 4분기 실적 전망 보고서 제목을 ‘환차손 및 기타손실에 따른 어닝쇼크 전망’이라고 썼다가 두 차례 제목을 수정했다.
첫 수정에서 ‘환차손 및 기타손실로 컨센서스 하회 전망’으로 고쳤다가 최종적으로 ‘컨센서스 하회 전망’으로 제목을 바꿨다.
본문에서도 ‘컨센서스를 23.8% 하회할 것’이라는 표현은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수정됐고 ‘전분기에 인식한 대규모 환차익이 급격한 원화 약세로 환차손으로 전환되었을 것으로 예상’, ‘해외자산 손상차손 등 기타손실이 반영될 전망’이라는 부분은 아예 삭제됐다.
한국금융지주, NH투자증권 보고서에서도 환 관련 손익을 추정하는 내용을 넣었으나 이들 증권사 리포트는 수정되지 않았다.
리포트상 증권사의 작년 4분기 환차익·환차손을 추정하는 근거는 3분기 외환 관련 실적과 환율 방향이다. 작년 3분기엔 4분기 대비 비교적 원화가 강세를 보였는데, 당시 손실을 본 증권사는 원화가 약세를 보인 4분기에는 이익을, 반대로 3분기에 이익을 본 증권사는 4분기에는 손실을 볼 것이라는 게 리포트의 내용이다.
연결 기준 작년 3분기 증권사들이 공시한 분기보고서를 보면 증권사별 외환거래 손익은 NH투자증권 -525억원, 미래에셋증권 2583억원, KB증권 436억원, 삼성증권 678억원 등이다.
증권업계에서는 지나치게 단순한 가정을 기반으로 과도한 추정을 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는 환 운용 포지션을 분기 내내 변함없이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서 나온 것인데 환율은 주식과 달리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증권사는 실적을 좌지우지할 정도의 환 포지션을 대규모로 들고 있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대형 증권사일수록 대부분 환 헤지(위험분산), 백투백 계약(동일한 조건으로 장외파생거래를 맺어 가격변동 리스크를 상대방에게 이전시키는 헤지 방식) 등을 통해 환 변동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리포트를 작성한 연구원은 “환 노출도 여부에 대해 지금 당장 확인해볼 수는 없으니 실적이 발표되면 알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산경투데이
단독, 우주, 산업, 경제, 시사, 금융, 전국, 기사 등 수록
www.sankyungtoday.com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0033
미래에셋증권, 증권업 ‘어닝쇼크’ 프리뷰 보고서 수정 논란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미래에셋증권이 증권사들의 작년 4분기 실적 프리뷰 보고서를 내며 ‘어닝쇼크’ 등의 내용을 넣었다가 삭제해 논란이 되고 있다.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
www.sankyung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