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 상승 여파… 1월 생산자물가 17개월 만에 최대 상승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국제 유가 상승의 여파로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1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국내 공급 물가도 넉 달 연속 오르며, 향후 소비자물가에 상승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커졌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18(2020년 수준 100)로 전월(119.52) 대비 0.6% 상승했다. 이는 2023년 8월(0.8%)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이며, 전년 동월 대비로도 1.7% 상승해 18개월째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농림수산품 가격은 전월 대비 4.0% 상승했다. 농산물(7.9%)과 수산물(1.4%)의 출하 물량 감소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공산품도 0.6% 올랐으며, 특히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석탄및석유제품(4.0%)과 1차금속제품(1.2%)의 가격이 올랐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 부문에서는 하수처리 비용이 2.8% 올랐으나 산업용 도시가스(-2.5%) 요금 인하로 전체적으로는 보합세를 유지했다. 서비스업은 정보통신및방송서비스(0.7%)와 사업지원서비스(1.1%) 중심으로 0.4%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딸기(57.7%), 감귤(26.5%), 물오징어(8.4%), 멸치(13.9%), 원두커피(8.4%), 경유(7.7%), 휘발유(5.6%) 등이 크게 상승한 반면, 돼지고기(-5.0%)와 원화수입수수료(-22.4%)는 하락했다.
수입품까지 포함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도 0.6% 상승했다. 원재료(0.7%), 중간재(0.5%), 최종재(0.6%) 모두 가격이 올랐으며, 이 지수는 넉 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월 총산출물가지수 역시 0.7% 상승하면서 공산품(0.8%)과 서비스(0.4%)의 가격 상승이 반영됐다.
한국은행은 국제 유가와 환율 변동성, 국내외 경기 흐름 및 공공요금 조정 여부가 향후 물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이문희 한국은행 물가통계팀장은 "생산자물가 상승이 소비자물가로 이어지는 데는 시차가 있으며, 기업의 가격 정책과 유통 과정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0801
국제 유가 상승 여파… 1월 생산자물가 17개월 만에 최대 상승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국제 유가 상승의 여파로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1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국내 공급 물가도 넉 달 연속 오르며, 향후 소비자물가에 상승 압력을 가할 가능
www.sankyung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