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테마주 변동성 확산…금감원, 불공정거래 특별단속 확대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정치 테마주를 둘러싼 주가 급등락과 불공정거래 우려가 커지자 금융감독원이 특별단속반을 확대하고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한다.
금융감독원은 1일 "정치 테마주 관련 불공정거래를 조기에 포착하고 엄정 대응하기 위해 특별단속반을 확대 운영한다"고 밝혔다. 단속 기간은 오는 7월 말까지이며, 내부자 제보를 적극 수집해 포상금도 최대 30억 원까지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최근 정치 일정 변화에 따라 정치 테마주의 주가 변동성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선포, 지난달 탄핵 선고, 그리고 다음달 조기 대선 일정 확정 등 정치적 이슈를 전후해 변동성이 커진 종목 60개를 정치 테마주로 분류해 관리 중이다.
이들 종목 대부분은 중소형주로, 실적과 무관하게 정치인과의 학연, 지연, 풍문 등 단순 연결성만으로 테마주로 묶여 주가가 급등락하고 있다. 특히 평균 자산, 수익성, 재무건전성 모두 시장 평균을 밑돌며 본질적 가치 대비 고평가 상태라는 분석이다.
정치 테마주의 평균 자산총액은 코스피 4,317억 원, 코스닥 994억 원으로 시장 평균 대비 각각 12.8%, 49.7% 수준에 그쳤고, 부채비율은 일부 종목에서 200%를 초과하는 등 재무구조가 취약했다.
영업이익률은 평균 1%로 시장 평균의 5분의 1에도 못 미쳤으며, 절반 이상이 이자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부실 상태로 파악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균 PBR은 2.3배에 달하며 고평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14개 종목은 PBR 3배를 넘는다.
금감원에 따르면, 과거 정치 테마주 불공정거래 사례에선 일부 투자자가 주가 조작이 쉬운 저가주를 사전 매집한 후 허위 정보나 풍문을 유포해 매수세를 유도하고 고점에서 매도하는 방식으로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치 테마주는 실적과 무관하게 급등락하는 고위험 종목"이라며 "허위사실 유포, 풍문 이용 등 불공정행위는 법적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만큼 투자자들은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2800
정치 테마주 변동성 확산…금감원, 불공정거래 특별단속 확대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정치 테마주를 둘러싼 주가 급등락과 불공정거래 우려가 커지자 금융감독원이 특별단속반을 확대하고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한다.금융감독원은 1일
www.sankyung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