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UsoJ6/btsBuoXYg4q/lkoM5usUJkb2XvBWk0akF0/img.jpg)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올해 3분기 국내은행들의 핵심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이 소폭 하락했다.
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 기준 자본비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9월 말 국내은행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6월 말 대비 0.15%포인트 하락한 15.56%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보통주자본비율은 12.99%로 0.07%포인트, 기본자본비율은 14.26%로 0.1%포인트 하락했다.
BIS 기준 자본비율은 총자산(위험자산 가중평가)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로 은행의 재무구조 건전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감독당국의 규제 기준은 보통주자본비율 7.0%, 기본자본비율 8.5%, 총자본비율 10.5%다.
금감원은 “분기순이익 등으로 자본이 4조5000억원(1.3%) 증가했지만 대출 증가 등 위험가중자산(50조원·2.3%)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한 데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9월 말 기준 모든 국내은행이 규제비율을 상회했다.
총자본 증가율이 위험가중자산 증가율을 상회하거나 위험가중자산이 감소한 6개 은행(케이·수협·SC·BNK·농협·하나)은 전분기 말 대비 총자본비율이 상승했다.
총자본이 소폭 감소하거나 상대적으로 위험가중자산 증가 폭이 큰 11개 은행(카카오·토스·신한·산업·DGB·수출입·KB·씨티·JB·기업·우리)은 총자본비율이 하락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고금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는 등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여전하고 중국의 경기 부진 등 경제 여건이 악화하고 있는 만큼 자본 여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에도 은행이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을 확보하고 자금중개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본적정성 감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내년 5월부터 경기대응완충자본 적립의무 부과, 스트레스 완충자본 제도 도입 등을 차질 없이 준비해 나가기로 했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44014
국내 은행, 3분기 위험자산 증가에 BIS비율 하락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올해 3분기 국내은행들의 핵심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이 소폭 하락했다.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 기준 자본비율
www.sankyungtoday.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별 상생금융액, 소상공인 대출 규모에 달렸다 (3) | 2023.12.07 |
---|---|
‘직무정지’ 박정림 KB증권 대표, 지주 총괄부문장 사임 (3) | 2023.12.06 |
카드 없이 현금 인출 가능...QR코드 ATM 입출금서비스 도입 (3) | 2023.12.05 |
우리금융, 전통시장과 상생 눈길...신용카드 단말기 무상 제공 (3) | 2023.12.05 |
5대 저축은행, 부동산PF 연체율 1년새 3배 폭증..2.4%→6.9% (4) | 2023.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