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강민정 기자]
재무에 곤란을 겪고 있는 '한계기업' 수가 코로나19이전인 2019년보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3일 김윤경 인천대 교수에게 의뢰해 작성한 ‘기업구조조정 제도 개선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은 결과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2021년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의한 법률’(외감법)을 적용받는 비금융기업 2만2388개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한계기업은 2823개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2283개)보다 23.7% 늘어난 숫자다.
영업이익이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 3년 연속 지속되면 한계기업으로 분류한다.
한계기업의 종업원 수는 2019년 24만7000명에서 지난해 31만4000명으로 26.7% 증가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중견·대기업이 2019년 389개에서 지난해 449개로 15.4%, 중소기업은 1891개에서 2372개로 25.4% 각각 늘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40.4%(1141개)로 가장 많았다. 제조업 중에서도 자동차·트레일러 제조업, 기타 기계·장비 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제조업의 한계기업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대비 지난해 한계기업 증가율은 항공운송업과 비금속광물 광업(연료용 제외)이 300%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음식점·주점업(200%), 음료 제조업(200%), 가구 제조업(100%) 등의 순이었다.
보고서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와 일본 도쿄증권거래소 등 세계 주요 거래소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의 지난해 전체 기업 대비 한계기업 비중은 17.1%로 홍콩증권거래소의 28.9%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산경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산경투데이(https://www.sankyungtoday.com)
′재무 곤란′ 겪는 한계기업 코로나19 이전보다 23.7% 증가 (sankyungtoday.com)
′재무 곤란′ 겪는 한계기업 코로나19 이전보다 23.7% 증가
[산경투데이 = 강민정 기자] 재무에 곤란을 겪고 있는 ′한계기업′ 수가 코로나19이전인 2019년보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3일 김윤경
www.sankyung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