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강인해 기자]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영향으로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49년 만에 고로가 멈추는 초유의 사태를 맞았다. 아직 포항제철소의 정상화까지 상당 시간이 더 필요하지만 책임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정부는 포스코가 태풍 대비를 소홀하지는 않았는지 조사하고 있다. 포스코가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었던건 아닌지, 피해상황을 축소해 보고한 것은 아닌지 따져볼 방침이다.
이런 분위기를 읽은 포스코는 피해 원인을 인근 하천 '냉천'에 돌렸다. 포스코 측은 "냉천 바닥 준설, 불필요한 구조물 제거 등 하천을 재정비해 물길의 흐름을 원활히 해야 냉천 범람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전 정권에서 선임된 최정우 포스코 회장을 쫓아내기 위한 포석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이런 분위기 속 18일에는 야권도 가세했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포항제철소를 찾아 "포스코는 3개월 안에 복구를 완료하기 위해 무진 애를 쓰고 있는데 정부는 책임 소재를 따지겠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포스코 피해가 정치쟁점까지 되고 있지만 현장에선 전문 정비인력이 없다고 한탄하고 있다. 포스코 현장 관계자는 "재무 출신인 최정우 회장이 들어오면서 설비, 안전투자등 에 소홀히 하고 위기관리능력이 부족해 지금 같은 위기를 제대로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며 "컨트롤타워가 없다"고 지적한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에만 집중하다보니 포스코의 정비수준과 기술수준을 하향 시킨 결과가 위기상황에서 여실히 드러난다는 것이다. 이렇다보니 이번 복구작업에 퇴직한 설비기술임원들을 불렀다는 말도 전해진다.
포스코측은 3개월내에 모든 공정을 정상화하겠다고 장담하지만 현장에서는 "어림없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또 다른 현장관계자는 "자재수급이 돼도 기존제품을 해체하고 교체해 시운전과정까지 적지않은 시간이 소요될것으로 보이며 100% 정상 가동까지는 6~10개월 정도 보고 있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포항제철소 복구기간이 3개월을 넘어설 경우 자동차, 조선, 가전 등 산업계 전반에 걸쳐 피해가 커질 수 밖에 없다며 우려하고 있다.
[저작권자ⓒ 산경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산경투데이(https://www.sankyungtoday.com)
https://www.sankyungtoday.com/news/view/1065611043666836
포스코 초유의 사태 책임공방 속 현장에선 전문가 부재 한탄
[산경투데이 = 강인해 기자]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영향으로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49년 만에 고로가 멈추는 초유의 사태를 맞았다. 아직 포항제철소의 정상화까지 상당 시간이 더 필요하지만
www.sankyung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