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박시수 기자] 일본이 적국의 미사일 공격을 사전 탐지하기 위해 소형위성 50기로 구성되는 군사용 '군집위성' 개발을 추진한다.
이 위성들은 해발고도 600-2000 킬로미터에 있는 지구 저궤도에서 꼬리물기 형태로 지구 주변을 돌며 감시활동을 하게 된다. 또한 일본은 중국과 러시아의 킬러(killer) 위성의 공격을 막는 우주기반 감시 시스템도 구축한다.
30일 아사히신문은 일본 방위성이 소형위성 50기로 구성되는 미사일 감시용 군집위성 구축을 2023~2027년 중기 방위 전략에 포함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올해 말까지 안전보장과 관련한 주요 문서 세 개를 개정해 자위대에 '반격능력'을 부여할 예정이다. 여기서 반격 능력은 일본을 공격하려는 적국의 미사일 동향을 사전 탐지하고, 한발 앞서 적국 미사일 발사대를 공격해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소형위성 군집위성은 적국의 미사일 공격 동향을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 프로젝트의 예산 규모와 인공위성 제작사에 대한 정보는 보도되지 않았다.
저궤도 군집위성 기반 미사일 감시 시스템은 음속의 5배 속도로 비행하는 극초음속 미사일이 등장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미사일 방어 체계다. 미사일의 비행 속도가 너무 빨라 지상 레이더나 정지궤도(해발고도 3만6000㎞) 감시위성 같은 기존의 감시 시스템으로는 미사일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일본 방위성은 적국의 '킬러 위성'의 공격으로부터 자국의 인공위성을 보호하기 위해 전파 방해 장치를 탑재한 감시 위성을 2기 체제로 강화한다고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2026년에 첫 위성을 고도 3만6000㎞ 정지궤도로 발사한다는 계획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상대국 위성에 접근해 로봇팔로 포획하거나 전자파를 발사해 기능을 마비시키는 일명 '킬러 위성'을 개발하고 있다. 이 위성은 광학망원경을 탑재할 예정으로, 정기궤도에 머물며 움직임이 수상한 위성들을 감시할 것이라고 이 신문은 보도했다.
[저작권자ⓒ 산경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산경투데이(https://www.sankyungtoday.com)
일본, 극초음속 미사일 감시위성 50기 개발한다 (sankyungtoday.com)
일본, 극초음속 미사일 감시위성 50기 개발한다
[산경투데이 = 박시수 기자] 일본이 적국의 미사일 공격을 사전 탐지하기 위해 소형위성 50기로 구성되는 군사용 ′군집위성′ 개발을 추진한다. 이 위성들은 해발고도 600-2000 킬로미터에 있는
www.sankyung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