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주요 금융지주들이 사상 최대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거 이탈하며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시장이 단순한 실적 호조보다는 밸류업 프로그램에 따른 적극적인 주주환원 의지와 실현 가능성을 더 중요하게 평가한 결과로 해석된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는 지난해 실적을 발표한 이달 5일부터 전날까지 외국인 투자자들이 3720억원 규모의 순매도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주가도 4일 9만1300원에서 13일 7만9400원까지 하락한 뒤, 소폭 반등했지만 18일 종가는 8만2100원에 머물렀다.
KB금융지주가 연간 순이익 5조원을 처음 돌파한 것을 고려할 때 이례적인 흐름으로, 시장 참여자들은 실적보다는 향후 밸류업 잠재력에 더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KB금융지주는 보통주자본비율(CET1) 13~13.5%를 넘는 잉여 자본을 주주에 환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난해 말 CET1 비율이 13.51%로 1년 전보다 0.08%포인트 하락하며 여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됐다.
KB금융지주의 투자 심리 악화는 경쟁사들에도 영향을 미쳤다. 신한금융지주는 지난해 실적을 발표한 6일부터 전날까지 외국인 투자자들이 1080억원의 순매도를 기록했으며 주가도 5만700원에서 4만8450원으로 하락했다.
하나금융지주 역시 실적 발표 당일인 4일부터 전날까지 외국인 순매도가 20억원에 달했으나 기관 매수세에 힘입어 주가는 5만9300원에서 6만1200원으로 소폭 상승했다. 신한금융과 하나금융의 CET1 비율은 각각 13.17%에서 13.03%, 13.17%에서 13.13%로 하락하며 공통적인 약세를 보였다.
반면 우리금융지주는 지난해 실적 발표(7일) 이후 전날까지 유일하게 240억원의 외국인 순매수를 기록하며 주가가 1만5670원에서 1만7240원으로 상승했다. 우리금융의 CET1 비율은 지난해 말 12.08%로 다른 금융지주보다 낮았지만 3분기 말 11.95% 대비 개선된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업계 관계자는 “단순 실적보다 자산 건전성 관리와 밸류업 계획을 우선하는 분위기”라며 “최근 금융회사 평가 기준이 달라졌다고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0780
금융지주 최대 실적에도 투심 악화…외인, KB금융 3720억 순매도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주요 금융지주들이 사상 최대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거 이탈하며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시장이 단순한 실적 호조보다
www.sankyungtoday.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복현, 우리은행 부당대출 사태 '현 경영진이 수습해야' (0) | 2025.02.19 |
---|---|
코스피, 5개월 만에 2,670선 돌파…반도체·2차전지 강세 (0) | 2025.02.19 |
한국은행 금리 인하 전망에 시중은행 예·적금 금리 하락 (0) | 2025.02.18 |
주요 손보사, 금융당국 압박 속 車보험료 인하 결정 (0) | 2025.02.18 |
원/달러 환율, 장 초반 1,441.8원 …연준 인사 발언 속 관망세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