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박우진 기자]
미국과 중국의 통상 갈등이 다시 치열해지며 한국이 직면한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145%에 달하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관세전쟁 수위를 끌어올리자, 중국도 즉각 보복 관세로 맞서면서 글로벌 공급망에 불안이 커지는 양상이다.
미국은 최근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하면서 한국 등 우방국 제품에는 숨통을 틔워줬다.
하지만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한편, 대중(對中) 중간재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입장에서는 중국의 대미 수출 감소가 곧 한국의 수출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한국의 대중국 수출 중 약 78%가 중간재이며, 이중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고위기술 품목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중국이 미국으로 보내는 완제품 생산량을 줄이면, 이를 뒷받침하던 한국산 중간재 수요도 동반 감소할 수밖에 없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의 대중 고율관세는 우리 기업의 중국 및 제3국 수출에 간접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피해 최소화를 위한 신속한 대미 협의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미·중 무역전쟁은 한국의 주력 산업인 반도체 업계에 직격탄이 되고 있다. 한국 반도체는 중국 전자업체를 통해 미국에 간접 수출되는 구조인 만큼, 미국 소비 위축은 한국 생산 차질로 이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우려는 중국이 미국 시장의 빈자리를 유럽연합(EU) 등 제3국 시장으로 돌릴 경우다.
EU가 중국산 제품에 대한 무역 장벽을 완화하면, 이들과 경합하는 한국 제품의 입지가 위축될 수 있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연구원은 “한국이 미국 시장에서는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EU 등지에서는 중국과의 경쟁이 심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업계는 이번 관세 갈등을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자동차, 배터리 등 일부 부품 산업은 중국산 대체 수요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미국이 자국 기업 보호를 명분으로 스마트폰, 컴퓨터, 반도체 등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자, 삼성전자와 TSMC 등 경쟁사는 수혜를 입을 전망이다.
배터리의 경우, 중국 CATL 등 주요 기업들이 고율 관세를 맞으면서, 미국 현지에 생산거점을 확장해온 한국 배터리 3사는 더욱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게 됐다.
전문가들은 다만 이 같은 기회도 ‘공급망 리스크’ 해소가 전제돼야 지속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부품 일부가 여전히 중국산에 의존하는 만큼, 미국 수출용 제품에는 중국산을 배제하고, 제3국 수출에는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공급망 이원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세계 경제의 두 축이 벌이는 치킨게임 속에서 한국이 ‘새우’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교한 전략과 외교력이 무엇보다 절실한 시점이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질라…미·중 관세전쟁에 한국 ‘이중고’ < 경제/정책 < 경제 < 기사본문 - 산경투데이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질라…미·중 관세전쟁에 한국 ‘이중고’
[산경투데이 = 박우진 기자]미국과 중국의 통상 갈등이 다시 치열해지며 한국이 직면한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145%에 달하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관세전쟁 수
www.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고용 부진·통상 갈등에 10조 원 추경…AI·민생·재난 대응 집중 (0) | 2025.04.13 |
---|---|
수출 위기 속 내수도 부진…韓경제, 통상 리스크에 '이중 압박' (0) | 2025.04.13 |
국제 금값 장중 3,245달러 돌파…무역 불안·달러 약세 겹쳐 (0) | 2025.04.12 |
휘발유·경유 가격 9주 연속 하락…유류비 가격 약세 지속 전망 (1) | 2025.04.12 |
애플 '관세 면제설'에 4% 급등…기술·반도체주 동반 상승 (1)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