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국내 기업들, ESG 공시 의무화에 준비 미흡... '유예 및 완화' 요구

by 산경투데이 2023. 8. 27.
반응형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대한상의가 국내 기업 1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산 2조원 이상 기업의 절반 이상이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늦추거나 책임 면제기간을 설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또한, ESG 공시를 위한 인력과 자본 부족,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미비 등을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ESG 공시를 준비하고 있는 기업은 53%에 불과하며, 이중 90%는 외부 전문기관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를 위한 자체 전산시스템을 보유한 기업은 14%에 불과했다.

ESG 공시 의무화 시기에 대해서는 56%가 '2026년 이후로 연기하고 일정 기간 책임 면제기간을 설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27%는 '2025년, 2030년으로 예정된 의무화 시기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14%는 '2027년부터 자산 1조원 이상 기업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SCOPE 3 배출량 공시와 관련해서는 44%가 '공시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공시하고 있는 기업은 32%이며, 준비 중인 기업은 24%였다. SCOPE 3 배출량 공시 의무화 시기에 대해서는 61%가 '전체적인 일정을 늦춰야 한다'고 응답했다.

ISSB 공시기준 도입과 관련해서는 74%가 '국내 상황에 맞춰 완화 도입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26%는 '상장사 대상으로 ISSB 기준을 전면 도입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또한, 77%는 '연결기준 공시는 시기상조'라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ESG 공시 관련 애로사항으로 '협력업체 데이터 측정 및 취합 어려움'(63%), '구체적인 세부 가이드라인 미비'(60%)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내부 전문인력 부족'(52%), '외부 전문기관 활용에 따른 비용 부담'(46%), '공시 위한 IT/전문시스템 부재'(37%) 등이 있었다.

ESG 공시 의무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과제로는 '업종별 ESG 공시 세부 지침 및 가이드라인 제공'(82%), 'ESG 전문인력 양성 및 공급'(57%), '내부인력 교육지원'(34%), '공시관련 컨설팅 비용 지원'(47%) 등이 제시됐다.

대한상의 우태희 상근부회장은 "ESG 공시 의무화는 우리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을 위해 추진되어야 할 정책"이라며, "ESG 공시가 규제가 아닌 지속가능성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유예기간을 충분히 주고, 명확하고 간소한 기준을 제시해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산경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산경투데이(https://sankyungtoday.com)

 

 

국내 기업들, ESG 공시 의무화에 준비 미흡... ′유예 및 완화′ 요구 (sankyungtoday.com)

 

국내 기업들, ESG 공시 의무화에 준비 미흡... ′유예 및 완화′ 요구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대한상의가 국내 기업 1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산 2조원 이상 기업의 절반 이상이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늦추거나 책임 면제기간을 설정해야 한다고 응답

sankyungtoda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