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박명준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부국장 팸 멜로이가 한국의 우주항공청 설립을 환영하며, 이를 통해 미국과 한국 간의 우주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멜로이 부국장은 16일 서울 용산구 주한미국대사관에서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멜로이 부국장은 "한국의 우주항공청 설립은 중요한 진전이며, 단일 소통 채널을 통해 협력이 더욱 원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 등과의 기존 협력을 언급하며, 우주항공청 출범이 국제 협력과 파트너십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그는 미국의 유인 달 탐사계획 '아르테미스'와 관련하여 한국과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히며, 현재는 서로 필요한 것을 찾아 구체적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멜로이 부국장은 "한국은 미국의 중요한 동맹국으로, 두 기관 간의 관계가 앞으로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이 아르테미스 협정에 서명한 것을 강조하며, "아르테미스 협정은 평화적이고 투명한 우주 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라며 한국과의 기술 협력에 큰 기대를 표명했다.
특히 한국이 통신 기술, 로보틱스, 첨단 제조 등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하며, 이는 미국의 달과 화성 탐사 계획과 상당히 관련이 있다고 언급했다.
멜로이 부국장은 전날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국제우주연구위원회(COSPAR) 총회에서 윤영빈 우주청장과 만난 사실을 밝히며, 큐브위성 'K라드샛' 등 미래 파트너십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했다.
또한, 한국 예산 문제로 성사되지 못한 큐브위성 협력 사업에 대해서도 다시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10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국제우주대회(IAC)에 NASA가 아르테미스 협정국들을 초대하고 있다며, 윤 청장의 참석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멜로이 부국장은 한국과의 협력이 서로 필요한 것을 조율하고 찾아가는 과정에 있다고 밝히며, 우선 연구 협정 형태로 접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가 가진 체계에 무엇이 필요한지, 한국의 기술적 능력과 열망에 맞는 것이 무엇인지 소통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통해 원하는 답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이 '문 투 마스' 전략에 참여한 것을 언급하며, 이를 통해 기술적으로 달성해야 할 과제들을 잘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그는 "우주청이 설립된 지 50일 정도 되었고, 아직 채용도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황"이라며 "서로 많은 논의가 필요하지만, 우주청이 자리 잡을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멜로이 부국장은 최근 우주개발이 정부에서 민간 주도로 전환되는 '뉴 스페이스' 기조에 대해 언급하며, 우주청이 최첨단 기술을 갖추고 민간 부문을 이끌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NASA가 스페이스X와 플래닛랩스 같은 기업을 키워낸 경험을 통해 정부와 기업 양측에 이익이 되는 협력 모델을 배웠다"며, 한국 우주청도 이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화물을 우주정거장으로 보내는 임무와 관련해 기업에 투자하면, 임무 수행에 필요한 일을 하면서도 기업은 정부 외 다른 고객도 염두에 둘 수 있다"며 "이를 통해 기술 개발 필요성과 활용 여지가 커진다"고 설명했다. 또한, 상업 기술 적용 증가와 관련해 새로운 규제 체계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출처 : 산경투데이(https://www.sankyungtoday.com)
NASA 부국장, 한국 우주항공청 설립 환영…미국과 협력 강화 기대 < 우주 최신소식 < 우주 < 기사본문 - 산경투데이 (sankyungtoday.com)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첫 100% 전기 추진 위성 'APStar-6E' 궤도 검증 성공 (1) | 2024.07.18 |
---|---|
유럽우주국, 재사용 로켓 첫 수직 이착륙 시험 2025년으로 연기 (1) | 2024.07.18 |
㈜보령,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우주개발 기술 협력 위한 업무협약 체결 (1) | 2024.07.16 |
NATO, 우주 기반 감시 강화 위해 10억 달러 투자 합의 (1) | 2024.07.15 |
일본, 민간 우주정거장 기술 개발에 본격 투자한다 (1) | 2024.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