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박우진 기자]
지난해 반도체 수출이 회복되면서 산업생산이 증가세를 보였지만, 내수 경기는 여전히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특히 서비스업 생산, 소매판매, 건설 등 내수 중심 지표들은 모두 부진해 경기 회복의 온도 차가 극명하게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연간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산업생산 지수는 113.6(2020년=100)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회복의 영향으로 전년(1.0%) 대비 증가 폭이 확대된 것이다.
4분기 전산업생산도 0.4% 증가하며 한국은행이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속보치(0.1%)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다만, 한은의 전망치(0.5%)보다는 소폭 낮았다.
광공업 생산이 4.1% 증가하며 산업생산 성장세를 견인하고, 전기장비와 1차 금속 부문에서는 감소했지만, 반도체(5.6%)와 자동차(10.7%) 등의 생산이 늘어나며 전체적인 증가세를 이끌었다.
제조업 생산도 2023년 2.6% 감소했던 것과 달리 지난해 4.4% 증가하며 반등했다.
그러나 내수 부진은 여전했다. 광공업 출하에서 수출은 4.0% 증가했지만, 내수 출하는 2.0%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도 1.4% 증가에 그쳐 전년(3.2%) 대비 절반 이하로 축소되었으며, 이는 코로나19가 발생했던 2020년(-2.0%)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소매판매는 2.2% 감소하며 2003년(-3.2%) 이후 2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이는 2022년 이후 3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간 것이며, 199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장 기간 감소 기록이다.
소비재별로는 내구재(-3.1%), 비내구재(-1.4%), 준내구재(-3.7%) 등 전반적으로 소비가 위축됐다. 특히 승용차 등 내구재 소비 감소가 두드러졌다.
건설 부문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건설기성(불변)은 토목(1.8%)에서 소폭 증가했지만, 건축(-6.9%) 부문이 크게 위축되면서 전체적으로 4.9% 감소했다.
이는 2021년(-6.7%)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율이다. 다만, 건설수주(경상)는 주택 등 건축(11.8%)에서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7.2%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류(2.9%)와 운송장비(7.8%) 증가로 4.1% 늘어나며 상대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
지난해 12월 산업생산(계절조정지수)은 전월 대비 2.3% 증가하며 반등에 성공했고,반도체(5.6%)와 자동차(10.7%) 생산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내수 경기는 여전히 침체를 벗어나지 못했다. 소매판매는 내구재(-4.1%)와 준내구재(-0.6%) 판매 감소로 전월 대비 0.6% 줄었다.
숙박·음식점업(-3.1%)과 예술·스포츠·여가 서비스업(-6.9%)도 감소하면서 소비 회복이 지연되는 모습을 보였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39.1%) 증가 영향으로 9.9% 증가했고, 7개월 연속 감소했던 건설기성도 건축(5.9%) 증가로 전월 대비 1.3% 상승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반영하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하며 경기 회복 속도가 더딜 것으로 전망됐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산업생산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소비와 투자 등 지출 부문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0401
반도체 견인 산업생산 증가… 내수 침체로 소비·건설 부진
[산경투데이 = 박우진 기자]지난해 반도체 수출이 회복되면서 산업생산이 증가세를 보였지만, 내수 경기는 여전히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특히 서비스업 생산, 소매판매, 건설 등 내수 중심 지표
www.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 위축 장기화…비상계엄 여파에 내수·서비스업 직격탄 (0) | 2025.02.04 |
---|---|
2월 전국 분양 1만2,676가구…전년 대비 51% 감소 (0) | 2025.02.04 |
입춘에도 강추위…전국 한파·눈 소식, 체감온도 '뚝' (0) | 2025.02.04 |
휘발유·경유 16주 연속 상승…국제유가 하락에 반전 기대 (1) | 2025.02.02 |
조업일수 감소로 한국 1월 수출 10.3%↓… 반도체는 강세 지속 (1)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