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주

차세대 소형위성 2호 임무 종료…국산 SAR 기술 자립 가능성 입증

by 산경투데이 2025. 5. 25.
반응형



[산경투데이 = 박우진 기자]

국내 기술로 독자 개발한 차세대 소형위성 2호가 발사 2년 만에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우주 영상 관측 기술 자립 가능성을 확인했다.

KAIST 우주연구원은 25일, 2023년 5월 누리호 3차 발사를 통해 지구 저궤도에 진입한 차세대 소형위성 2호가 이날부로 SAR(Synthetic Aperture Radar) 기반 기술 검증 및 전천후 관측 임무를 성공적으로 종료했다고 밝혔다.

차세대 소형위성 2호는 국내 최초로 KAIST가 자체 설계·제작한 소형 영상 레이다 탑재 위성으로, 하루 평균 3~4회 지구 관측 임무를 수행해왔다. 누적 관측 횟수는 1,200회를 넘어섰으며, 임무 종료 이후에도 SAR 시스템은 정상 작동 중이다.

영상 레이다는 빛과 구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능동형 관측 센서로, 한반도처럼 기상 변화가 빈번한 지역에서도 24시간 지상 감시가 가능하다.






KAIST는 극지연구소 및 국립공원연구원과 협업해, 북극권 빙권 변화와 고산지역 생태계 이상 징후를 정밀 모니터링하는 데 위성 영상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극지연구소는 ESA의 센티넬-1호 위성과의 데이터 융합 분석을 통해 캐나다 밀른 빙붕 후방에 위치한 호수 면적이 최근 4년간 약 15㎢ 증가한 사실을 확인하며, 북극 기후 변화의 급진적 가속을 입증했다.

차세대 소형위성 2호 영상은 산불 감시, 침엽수 고사, 산사태 등 산림 생태계 변화 탐지에도 활용되며, 연기와 화염을 뚫고 관측할 수 있어 보호구역 전반에 대한 정기 감시 체계를 지원하고 있다.

KAIST는 우주항공청 예산 지원을 통해, 수신된 SAR 데이터를 연구기관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 영상 제품화 시스템 개발도 병행하고 있다.

한재흥 KAIST 우주연구원장은 “100㎏급 위성에 국산 SAR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탑재한 것은 영상 레이다 기술의 소형·경량화 역량을 증명한 사례”라며 “국내 위성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라고 평가했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3327

차세대 소형위성 2호 임무 종료…국산 SAR 기술 자립 가능성 입증

[산경투데이 = 박우진 기자]국내 기술로 독자 개발한 차세대 소형위성 2호가 발사 2년 만에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우주 영상 관측 기술 자립 가능성을 확인했다.KAIST 우주연구원은 25일,

www.sankyungtoda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