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연 최고 10%대 금리 효과를 내는 정책 상품인 ‘청년희망적금’의 가입자 4명 중 1명은 해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시 당시 선풍적 인기를 끌었지만 청년층 주머니 사정이 나빠지면서 중도 해지가 늘었다.
21일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 제출한 ‘청년희망적금 운영 현황’에 따르면 해당 상품이 출시된 지난해 2월 당시 최초 가입자는 289만5546명, 지난 5월 말 기준 중도 해지자 수가 68만4878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중도 해지율은 23.7%로 나타났다.
납입 금액대별 해지 현황을 살펴보면 ‘10만원 미만’ 납입자의 중도 해지율이 49.2%로 가장 높았다.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48.1%, ‘20만원 이상~30만원 미만’ 43.9%, ‘30만원 이상~40만원 미만’ 40.3% 등이 뒤를 이었다.
최대 납입 한도인 50만원을 납입한 청년들의 경우 중도 해지율이 14.8%로 가장 낮았다.
연령대별로는 나이가 많을수록 중도 해지율이 낮았다. 가입 상한 연령인 만 34세의 중도해지율은 21.2%인데 반해 가입 하한 연령인 만 19세의 해지율은 27.9%로 더 높았다.
청년희망적금은 총급여 3600만원 이하 만 19~34세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고자 문재인 정부에서 출시한 정책 금융 상품이다. 만기 2년 동안 매달 50만원 한도로 납입할 경우 정부 지원금(저축 장려금)까지 합쳐 연 10% 안팎의 금리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당시 정부는 가입자 규모를 38만명으로 예측했으나 300만명에 가까운 가입자가 몰리는 등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이후 고물가·고금리에 저축 여력이 줄고 지출 변수가 많은 20·30 세대의 급전 수요가 맞물리면서 중도 해지가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은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정책 목표 아래 최근 출시한 ‘청년도약계좌’의 중도 해지 방지 방안을 두고 추가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청년도약계좌도 5년간 매달 70만원 한도로 적금하면 월 최대 2만4000원의 지원금 등을 더해 5000만원가량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금융당국은 가입자가 급전 수요에 중도 해지하지 않도록 청년도약계좌와 연계한 적금담보부대출 운영, 햇살론 유스 대출 시 우대금리 지원방안 등을 내놓은 상태다.
매달 쌓이는 정부 지원금과 이자 수준을 은행 계좌나 앱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 시스템도 개발 중이다.
강민국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 문제를 반면교사 삼아 수시로 상품을 점검해 생활·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의 실질적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도울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산경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산경투데이(https://sankyungtoday.com)
https://sankyungtoday.com/news/view/1065568518253447
청년희망적금 중도 해지 70만명 육박..4명 중 1명꼴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연 최고 10%대 금리 효과를 내는 정책 상품인 ‘청년희망적금’의 가입자 4명 중 1명은 해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시 당시 선풍적 인기를 끌었지만 청년층 주머니 사
sankyungtoday.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사 CEO 처벌 근거 마련됐다...내부통제 ‘책무구조도’ 도입 (24) | 2023.06.22 |
---|---|
신한은행, 시중은행 최초 ‘예적금·대출 금융상품 비교 서비스’ 출시 (10) | 2023.06.21 |
‘금리·수수료 담합’ 칼 빼든 공정위...KB·삼성·NH투자증권 등 현장조사 (14) | 2023.06.20 |
고객 돈 ‘꿀꺽’ 신한라이프 보험설계사...등록 취소 제재 (26) | 2023.06.20 |
BNK금융, 2분기 성과 목표 미달...빈대인 회장 “긴축 경영 불가피” (5) | 2023.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