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은행 등 금융권에서 횡령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올해에만 횡령액이 역대 두 번째 규모인 600억원에 육박했다.
3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금융사 임직원의 횡령 사건은 경남은행을 포함해 11개사, 33건에 총 592억7300만원이었다.
이는 우리은행 직원의 700억원대 횡령으로 금융권 전체 횡령액이 1010억원을 기록했던 지난해에 이어 가장 많은 액수였다.
올해 들어 7월까지 금융사 횡령액을 보면 560억원이 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횡령 사고가 발생한 경남은행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경남은행은 올해 이 직원의 횡령 외에 횡령 사건이 1건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나 횡령액은 100만원 미만 소액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은행에 이어 신한은행이 횡령액 7억17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농협조합 6억1300만원 ▲신협조합 4억3900만원 ▲기업은행 3억2200만원 ▲오케이저축은행 2억5100만원 ▲KB국민은행 2억2300만원 ▲NH농협은행 1억8500만원 ▲코레이트자산운용 1억6000만원 ▲우리은행 9100만원 ▲하나은행 7200만원 순이었다.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금융사 임직원의 횡령액은 총 2204억원에 달했다.
앞서 금감원은 우리은행 직원의 거액 횡령 사건을 계기로 지난해 11월 은행권 내부통제 혁신 방안을 통해 장기 근무자에 대한 인사 관리 기준을 강화하고 명령 휴가 대상자에 동일 부서 장기 근무자, 동일 직무 2년 이상 근무자도 포함하기로 했다.
하지만 문제의 경남은행 직원이 유사한 부서에서 장기간 근무하면서 거액을 횡령해 금감원의 지침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은행 등 금융사들에 순환근무와 명령 휴가제 등 내부통제 혁신 방안이 제대로 운영되는지 파악할 예정이다.
특히 금감원은 이번 경남은행 직원의 횡령이 PF 대출에서 발생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금감원은 금융권의 PF 대출 영업 업무와 자금 송금 업무의 분리 여부, 지정 계좌 송금제, 자금 인출 요청서 위변조 대책이 제대로 이뤄지는지 집중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산경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산경투데이(https://sankyungtoday.com)
https://sankyungtoday.com/news/view/1065567198544713
올해 금융권 횡령 600억원 육박...역대 두 번째 규모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은행 등 금융권에서 횡령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올해에만 횡령액이 역대 두 번째 규모인 600억원에 육박했다. 3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
sankyungtoday.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박은빈, 은행원 된 사연은?...국민은행, ‘9To6 뱅크’ 새 광고 영상 공개 (20) | 2023.08.03 |
---|---|
신한금융, 그룹 통합 데이터 플랫폼 ‘신한 원 데이터’ 오픈 (5) | 2023.08.03 |
코스피 0.42% ↓, 코스닥 1.16% ↑… 이차전지주와 바이오주 강세 마감 (6) | 2023.08.03 |
2차전지주 주가 하락, 개인 투자자 투자 심리 위축 (5) | 2023.08.03 |
[인뱅 NOW] 케이뱅크, 중저신용대출 금리 최대 1%P 인하 (7) | 2023.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