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김병관 기자]
북한이 31일 발사한 우주발사체가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 우주 발사체는 백령도 서쪽 먼 바다를 통과해 어청도 서쪽 200여 ㎞ 해상에 비정상적 비행으로 낙하했다"고 밝혔다. 공중폭발보다는 추진력 상실로 추락한 것으로 보인다.
군은 북한의 발사체가 추진체 단 분리 과정에서 분리후 2차 추진이 되지 못한 채 공중 폭발했거나 해상에 추락하는 등 발사 과정 전반이 실패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분석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역시 "군사정찰위성 발사시 사고가 발생했고, 빠른기간내 2차발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31일 6시27분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예정되였던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발사했다”고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이어 “‘천리마-1’형은 정상비행하던 중 1계단 분리 후 2계단 발동기(엔진)의 시동 비정상으로 하여 추진력을 상실하면서 서해에 추락했다”고 설명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31일 6시27분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예정되였던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발사했다”고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이어 “‘천리마-1’형은 정상비행하던 중 1계단 분리 후 2계단 발동기(엔진)의 시동 비정상으로 하여 추진력을 상실하면서 서해에 추락했다”고 설명했다.
국가우주개발국 대변인은 “‘천리마-1’형에 도입된 신형발동기 체계의 믿음성과 안정성이 떨어지고 사용된 연료의 특성이 불안정한데 사고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해당 과학자, 기술자, 전문가들이 구체적인 원인 해명에 착수한다”고 말했다.
군은 이번 북한의 발사체를 해군 이지스함 레이더와 공군의 지상의 탄도탄 감시레이더 ‘그린파인’ 등을 통해 탐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번 발사 원점이 동창리 기존 발사대 인지, 또는 현재 건설 중인 제2발사장인지를 확인 중이다.
북한은 앞서 2012년과 2016년 광명성 3호와 4호 위성을 지구 궤도에 올리긴 했지만 위성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산경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산경투데이(https://www.sankyungtoday.com)
북, 발사 예고 다음날 ′기습발사′ 했으나 ′실패′ (sankyungtoday.com)
북, 발사 예고 다음날 ′기습발사′ 했으나 ′실패′
[산경투데이 = 김병관 기자] 북한이 31일 발사한 우주발사체가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 우주 발사체는 백령도 서쪽 먼 바다를 통과해 어청도 서쪽 200여 ㎞ 해상에 비
www.sankyungtoday.com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2024년부터 2년간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출 (0) | 2023.06.07 |
---|---|
권익위, "선관위" 자녀 특혜 채용 의혹 조사에 전담 조사반 구성 (0) | 2023.06.01 |
[속보] 합참 "북한, 남쪽으로 우주발사체 발사" (0) | 2023.05.31 |
노태악 선관위원장 "국민께 송구"...전수조사 재차 강조 (0) | 2023.05.30 |
[속보]북 리병철 "정찰위성 6월 발사...미 군사행동 실시간 감시" (0) | 202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