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금융사들이 알뜰폰 시장에 진출하는 주된 이유는 인공지능(AI) 사업을 위한 고객 데이터 확보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1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민기 교수는 미디어 스터디데이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금융사들이 통신사와 협력을 넘어 직접 알뜰폰 서비스를 출시하며 개별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사들은 알뜰폰 가입자에게 금리 우대 쿠폰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 고객을 멤버십으로 묶고 이를 통해 고객의 소비 패턴, 이용 습관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한다는 게 김 교수의 분석이다.
이렇게 확보된 데이터는 고객 맞춤형 금융 서비스 제공, 제휴 서비스 연계, 나아가 통신사와 유사한 가족 결합 서비스 도입 등 금융 사업 경쟁력 강화에 활용될 수 있다.
김 교수는 금융사들이 알뜰폰 요금제를 더욱 저렴하게 제공할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전망하며 이는 확보된 데이터의 가치를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통신 3사의 AI 전략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SK텔레콤은 글로벌 AI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다양한 해외 기업과 협력하고 있으며, KT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사물인터넷,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기업 간 거래(B2B)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생성형 AI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학습 데이터 부족과 그래픽 처리장치(GPU) 부족 등의 문제가 존재하며 이는 AI 기술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49405
금융사 알뜰폰 진출 왜?...전문가 “고객 데이터 확보 목적”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금융사들이 알뜰폰 시장에 진출하는 주된 이유는 인공지능(AI) 사업을 위한 고객 데이터 확보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21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민기 교수는 미
www.sankyungtoday.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NH농협은행, 둔촌주공 입주 앞두고 잔금대출 금리 하향 (2) | 2024.11.22 |
---|---|
토스뱅크, 외화통장 업그레이드...편의 기능 추가 (2) | 2024.11.22 |
보험사 대출잔액·연체율 동반 상승...“건전성 지표 지속 모니터링” (1) | 2024.11.22 |
공정위, '4대 은행 LTV 담합' 재심사 결정…추가 사실 확인 착수 (1) | 2024.11.21 |
새마을금고중앙회, 충남 취약계층에 'MG어글리푸드' 전달 (1)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