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박명준 기자]
우주항공청이 차세대 발사체 개발 방향을 수정하며 1단을 재사용하는 형태로 우선 개발할 계획을 밝혔다.
이에 따라 향후 우주개발 사업 전반에 미칠 영향과 행정절차가 중요한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9일 우주항공청에 따르면, 차세대 발사체는 2032년 달 착륙선 수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1단만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개발된다.
완전 재사용을 위한 2단 재사용 기술은 2027년부터 별도의 사업으로 연구를 시작하며, 2032년 이후 차세대 발사체에 적용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이를 통해 2035년부터는 완전 재사용 발사체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차세대 발사체의 엔진을 기존의 케로신(등유) 방식으로 유지할지, 메탄 엔진으로 전환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기술적 선택이 향후 사업 진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업 변경은 사실상 예비타당성 조사를 다시 신청하는 수준의 대규모 개편이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특정평가를 거쳐 사업이 재검토되며, 총사업비가 15% 이상 증가할 경우 기획재정부의 적정성 재검토도 받아야 하는 절차가 남아 있다.
이 과정에서 사업자 변경 가능성도 제기된다. 현재 차세대 발사체 개발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기업으로 선정되어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협약을 맺고 있다. 하지만 사업 변경의 폭이 커지면 협약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업 개편이 행정절차로 인해 일정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박재성 우주청 우주수송부문장은 "사업 일정에 변수가 생긴 것은 사실이지만,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은 그대로 추진할 것"이라며 "하드웨어 제작을 위한 장비 구축 및 기반 시설은 미리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이 우주항공청의 행정 역량을 평가하는 첫 시험대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차세대 발사체뿐만 아니라 한국형 달 착륙선과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등 다른 대형 우주개발 사업들도 재검토 대상에 올라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민간 달 착륙선 개발이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한국형 달 착륙선 사업 일정이 지연되는 문제에 대한 지적도 나오고 있다. 또한 KPS 사업의 경우 첫 위성 발사가 이미 1년 이상 연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 부문장은 "현재 보안 사업으로 지정돼 있어 공청회 등을 통한 의견 수렴이 어려웠지만, 행정절차에 들어가면 보다 폭넓은 의견을 청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예산과 기술 구성 변화에 대한 냉정한 평가와 여론 수렴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1232
우주항공청, 차세대 발사체 개발 방향 수정…1단 재사용 방식 우선 추진
[산경투데이 = 박명준 기자]우주항공청이 차세대 발사체 개발 방향을 수정하며 1단을 재사용하는 형태로 우선 개발할 계획을 밝혔다.이에 따라 향후 우주개발 사업 전반에 미칠 영향과 행정절차
www.sankyungtoday.com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우연, 조직 개편 단행…우주탐사·항공기술 연구 역량 강화 (1) | 2025.03.10 |
---|---|
머스크의 스타링크 발언, 미-폴란드 외교 갈등 촉발 (1) | 2025.03.10 |
인튜이티브 머신스 ‘아테나’, 달 착륙 시도했으나 성공은 불투명 (1) | 2025.03.08 |
경남도, 우주항공 세라믹 기업 지원…신청 접수 27일까지 (1) | 2025.03.08 |
인튜이티브 머신스 달 탐사선 '아테나', 착륙 실패로 임무 종료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