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
우리나라 국민이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급수단은 신용카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에 따라 모바일카드나 현금의 활용 비중도 다르게 나타나며, 지급수단의 양상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4년 지급수단·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약 3,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신용카드는 전체 지급수단 중 46.2%의 사용 비중(건수 기준)을 차지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단으로 조사됐다.
신용카드에 이어 체크카드(16.4%), 현금(15.9%), 모바일카드(12.9%) 순으로 사용률이 높았다.
특히 연령대별로 선호하는 지급수단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0~30대의 경우, 모바일카드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20대는 36.8%, 30대는 34.9%가 모바일카드를 선호한다고 응답해, 신용카드(각각 38.0%, 49.5%)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반면 60대 이상은 신용카드(52.1%) 다음으로 현금(30.2%)의 사용 비중이 높아,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전히 현금 사용에 익숙한 경향을 보였다.
해외 결제 경험자들은 실물 카드, 해당 국가 통화, 모바일 결제 순으로 이용 비중이 높았으며, 실물 카드 중에서는 신용카드가 89.2%에 달해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였다.
한국은행은 보고서를 통해 “국민이 신용카드를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최근 한 달 내 대면 거래에서 한 번이라도 사용한 적 있는 지급수단을 묻는 중복 응답 항목에서는 현금 사용 경험이 88%로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양한 지급수단이 공존하는 시대에 국민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 한국은행, 금융업계가 협력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1842&page=3&total=20167
신용카드, 가장 많이 쓰는 결제수단…연령대별 모바일·현금 사용 뚜렷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우리나라 국민이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급수단은 신용카드인 것으로 나타났다.연령대에 따라 모바일카드나 현금의 활용 비중도 다르게 나타나며, 지급수단
www.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기업 체감 경기 5개월 만에 반등…4월 전망은 다시 악화 (1) | 2025.03.27 |
---|---|
공정위, MBK·홈플러스·롯데카드 간 부당 내부거래 의혹 조사 착수 (0) | 2025.03.27 |
홈플러스, 임대료 조정 본격 협의 착수…회생 절차 속 정상 영업 유지 (1) | 2025.03.25 |
지난해 지방세 수입 114.1조 원…예산 초과 달성하며 증가세 전환 (0) | 2025.03.25 |
외국인·기관 매도에 코스피 하락 전환…코스닥도 상승폭 반납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