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확대 이후 급격히 둔화됐다.
최근 상승세를 주도하던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가 토허제 확대로 직격탄을 맞으면서 상승폭이 절반 이하로 줄었다.
한국부동산원이 27일 발표한 '3월 넷째 주(2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11% 상승했다. 하지만 이는 전주의 0.25% 상승에 비해 상승폭이 절반 이하로 감소한 수치다.
특히 토허제 대상 지역이 구 전체로 확대된 강남구와 서초구의 상승폭은 전주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강남구는 전주 0.83%에서 0.36%로, 서초구는 0.69%에서 0.28%로 감소했다. 송파구는 1년여 만에 하락 전환하며 0.03% 내렸다. 이는 지난주 0.79% 상승에 비해 큰 폭의 변화다. 용산구 역시 상승폭이 0.34%에서 0.18%로 줄었다.
토허제 확대의 영향은 강남권뿐 아니라 주변 지역으로도 확산됐다. 마포구는 상승폭이 0.29%에서 0.21%로 줄었고, 성동구(0.37%→0.35%), 동작구(0.20%→0.17%), 광진구(0.25%→0.15%) 등도 상승폭이 축소됐다.
부동산원은 "일부 재건축 단지 등 선호 지역에서 상승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관망 심리와 국지적 급매 수요로 인해 상승폭이 줄어들었다"고 분석했다.
경기 지역은 전주와 동일한 보합(0.00%)을 유지했으며, 인천은 0.07% 하락하며 낙폭이 커졌다. 최근 가격 급등세를 보였던 과천 역시 상승폭이 0.55%로 줄며 상승세가 주춤했다. 수도권 전체의 가격 상승폭도 0.03%로 줄었다.
지방 아파트값도 0.04% 하락하며 전주와 같은 낙폭을 유지했다. 5대 광역시는 -0.06%로 낙폭이 확대됐고, 8개 도 지역도 -0.03%로 전주보다 하락폭이 커졌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2% 오르며 전주(0.01%)보다 상승폭이 소폭 확대됐다. 서울 전세가격은 전주 0.07%에서 0.06%로 상승폭이 줄었고, 수도권은 0.04%로 변동이 없었다. 지방 전세가격은 -0.01%로 낙폭이 줄었다.
부동산 전문가는 "토허제 확대가 가격 상승세를 크게 둔화시키면서 단기적인 관망 심리가 확산되고 있다"며 "향후 금리와 정책 변화에 따라 추가 조정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1907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둔화…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영향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확대 이후 급격히 둔화됐다.최근 상승세를 주도하던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가 토허제 확대로 직격탄
www.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 2,600선 붕괴…공매도 재개·미 관세 우려에 하락세 (0) | 2025.03.28 |
---|---|
JW중외제약, 리베이트 78억 위장해 법인세 15억 포탈 (0) | 2025.03.28 |
전자제품 미끼로 유혹하는 상조 서비스…소비자 피해 급증 (0) | 2025.03.28 |
4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 48% 급감...신축 희소성에 가격 상승 우려 (1) | 2025.03.27 |
3월 기업 체감 경기 5개월 만에 반등…4월 전망은 다시 악화 (1)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