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국내 보험 유지율 여전히 저조…금감원, 수수료 체계 전면 손본다

by 산경투데이 2025. 4. 22.
반응형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국내 보험계약의 유지율이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며, 해외 주요국과의 격차도 20%포인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과도한 수수료 구조와 판매 경쟁을 구조적 원인으로 보고 수수료 체계를 전면 개편할 방침이다.

2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보험회사 판매채널 영업효율 및 감독방향’에 따르면, 국내 보험계약의 1년 유지율은 87.5%, 2년 유지율은 69.2%로 집계됐다.

특히 3년차부터 수수료 선지급 기간이 종료되면서 유지율은 54.2%까지 급락했고, 5년차에는 절반에도 못 미치는 46.3% 수준에 그쳤다.

이는 싱가포르(96.5%), 일본(90.9%), 대만(90.0%), 미국(89.4%) 등 주요국과 비교해 최대 27%포인트 낮은 수치다.

채널별로는 온라인 등 고객 주도형 채널(CM)의 3년 유지율이 66.1%로 가장 높았다. 반면 전속 설계사와 법인보험대리점(GA) 채널은 1년 유지율은 88%대였으나, 3년차에는 50%대로 떨어졌다.

지난해 불완전판매 비율은 0.025%로 전년보다 개선됐다. 하지만 생명보험의 불완전판매율(0.050%)은 손해보험(0.014%)보다 여전히 높았고, GA 채널 간에도 자회사형(0.026%)과 대형 GA(0.077%) 간 격차가 드러났다.

전속 설계사 수는 65만 명을 넘기며 1년 사이 8% 가까이 증가했고, 1인당 월평균 소득도 338만 원으로 전년 대비 11% 상승했다. 설계사 정착률 역시 5%포인트 가량 개선되며 52.4%를 기록했다.

금감원은 “계약 유지율과 불완전판매 지표는 다소 나아졌지만, 여전히 국제적 수준에 못 미친다”며 “방카슈랑스 채널에 대한 규제가 완화된 만큼, 보장성보험 중심의 과도한 판매 경쟁에 따른 소비자 피해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금융당국은 보험 계약의 장기 유지 유도를 위한 판매 수수료 구조 개편안을 상반기 중 발표할 계획이다. 이 개편안에는 수수료 지급 한도 설정과 분할 지급 방식의 유지관리 수수료 도입이 포함될 예정이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2531

 

국내 보험 유지율 여전히 저조…금감원, 수수료 체계 전면 손본다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국내 보험계약의 유지율이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며, 해외 주요국과의 격차도 20%포인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금융당국은 과도한 수수료 구조와 판매 경쟁을

www.sankyungtoda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