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정부, 경제 성장률 전망 2.2%→2.6% 상향 조정...수출회복·반도체 호전 반영

by 산경투데이 2024. 7. 3.
반응형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

정부가 올해 국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6%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예상을 웃도는 1분기 성장률과 지속적인 수출 회복세를 반영한 결과다.

기획재정부가 3일 발표한 '2024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한국 경제는 2.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치와 같고, 한국은행(2.5%)의 전망치보다는 다소 높은 수치다.

성장률 상향 조정의 주요 원인은 수출의 호조다.

월별 수출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6월까지 9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으며, 특히 6월 반도체 수출은 134억 달러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부는 세계 경제의 완만한 성장세와 인공지능(AI) 수요 확대에 따른 반도체 경기 호전으로 하반기에도 수출 개선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기존 전망대로 2.6%를 유지했으며, 취업자 수는 23만 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김병환 기재부 제1차관은 “상반기 경제 성장률이 전기 대비 1.3% 플러스를 기록하는 등 개선세를 보였다”며 “최근 수출 호조세를 반영해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부문별로 회복 속도가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민간 소비는 기존대로 1.8% 증가 전망이 유지됐으며, 가계 이자 부담이 높은 수준이지만 기업 실적 개선과 물가 둔화에 따른 가계 실질소득 증가로 소비 제약 요인이 완화될 것으로 보았다.

반면, 건설투자는 기존 1.2% 감소 전망을 유지했고, 설비투자 전망치는 기존 3.0%에서 2.0%로 소폭 하향됐다.

수출 증가와 수입 감소로 상품수지가 개선되면서 올해 경상수지 흑자는 6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기존 전망치보다 130억 달러 증가한 수치다. 반면, 해외여행 증가와 일시적 배당 유입 효과 소멸로 서비스·소득수지는 90억 달러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6%를 유지하며, 내년에는 2.1%로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취업자 수는 23만 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고용률은 62.8%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김병환 차관은 “여러 경제 지표가 연초 전망했던 수준 또는 그 이상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부문 간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다”며 “하반기에는 지표 개선이 넓게 체감되도록 정책 노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 산경투데이(https://www.sankyungtoday.com)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46757

 

정부, 경제 성장률 전망 2.2%→2.6% 상향 조정...수출회복·반도체 호전 반영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정부가 올해 국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6%로 상향 조정했다.이는 예상을 웃도는 1분기 성장률과 지속적인 수출 회복세를 반영한 결과다.기획재정부가

www.sankyungtoda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