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국내 경상수지가 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2년 8개월 만에 최대 규모로 불어났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경상수지는 89억2천만달러(약 12조3천270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 9월 이후 최대 규모이다.
4월에는 외국인 배당 증가 등으로 인해 2억9천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으나, 한 달 만에 흑자로 전환됐다.
이로 인해 1∼5월 누적 경상수지는 254억7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05억달러 개선되었다.
경상수지 흑자 주요 원인은 상품수지 흑자 유지이다.
5월 상품수지는 87억5천만달러로, 2021년 9월 이후 가장 큰 흑자를 보였다.
수출은 589억5천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1.1% 증가했다.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석유제품, 승용차 수출이 증가했고, 동남아, 미국, 중국 등으로의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반면, 철강 제품 수출은 감소했다.
수입은 502억달러로 1년 전보다 1.9% 감소했다.
원자재, 자본재, 소비재 수입 모두 줄었다.
석유제품(25.7%)·가스(6.9%)·원유(6.7%)·화학공업제품(-15.9%)·석탄(-35.1%) 등 원자재 수입이 1.0%, 반도체(13.1%)·수송장비(-16.0%)·반도체 제조장비(-27.9%) 등 자본재 수입이 3.3% 각각 감소했다. 곡물(-16.2%)·승용차(-11.2%)를 비롯한 소비재 수입도 2.1% 축소됐다.
서비스수지는 12억9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지만, 적자 규모는 한 달 전보다 줄었다.
특히 여행수지는 내국인의 해외 출국 증가로 적자 폭이 확대됐다.
반면, 지적재산권수지는 특허권과 상표권 사용료 수입 증가로 1억달러 흑자로 전환됐다.
본원소득수지는 4월의 대규모 적자에서 5월에는 17억6천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이는 4월에 국내 기업이 외국인에게 배당금을 집중적으로 지급하는 계절적 요인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금융계정 순자산은 5월 중 75억8천만달러 증가했다.
4월의 경우 66억달러 감소했지만, 1개월 만에 반등했다.
내국인의 해외투자와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모두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도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 중심으로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도 채권 위주로 확대됐다.
출처 : 산경투데이(https://www.sankyungtoday.com)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46788
반도체 수출 호조로 2년 8개월 만에 경상수지 최대 흑자 달성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국내 경상수지가 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2년 8개월 만에 최대 규모로 불어났다.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경상수지는 89
www.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듀윌, '10명 중 9명 단기합격' 허위 광고로 공정위 시정명령 (1) | 2024.07.05 |
---|---|
도시가스 요금, 1년 만에 인상... 8월부터 6.8%↑ (1) | 2024.07.05 |
정부, 경제 성장률 전망 2.2%→2.6% 상향 조정...수출회복·반도체 호전 반영 (6) | 2024.07.03 |
쿠팡, 프리미엄 전용관 확대…허먼밀러 등 고급 브랜드 강화 (2) | 2024.07.02 |
의정 갈등 장기화, 의료 서비스 마비 위기...환자 불안 고조 (3) | 2024.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