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배달앱 수수료 부담에 메뉴 가격 인상…자영업자들 ‘이중 가격’ 도입 확대

by 산경투데이 2025. 2. 15.
반응형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

국내 외식업 자영업자들이 배달앱 수수료를 가장 큰 경영 부담으로 느끼면서 상당수가 메뉴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가 외식업 점주 5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외식업 점주들이 사업장에서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요소는 배달앱 수수료(7점 만점에 5.68점)로 나타났다.

이어 세금(5.46점), 식재료비(5.41점), 공과금(5.38점), 고용인 인건비(5.34점), 임차료(5.30점) 순으로 부담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카페·베이커리·디저트 업종에서 배달앱 수수료 부담이 가장 높았으며, 해당 업종의 점수는 6.07점에 달했다.

설문에 응답한 점주의 47.6%는 배달앱 수수료 상승으로 인해 메뉴 가격을 올린 적이 있다고 답했다. 또한, 34.8%는 배달앱과 오프라인 매장의 메뉴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는 ‘이중 가격’ 정책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 개인이 운영하는 카페·베이커리 업종에서 가격 인상 사례가 가장 많았으며, 이중 가격제는 수도권 비프랜차이즈 중식당에서 가장 많이 적용됐다. 평균적인 메뉴 가격 인상폭은 1,858원이었으며, 이중 가격을 도입한 경우 배달 가격이 평균 2,114원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오는 26일부터 시행되는 ‘차등 요금제’에 대한 기대감은 높지 않았다. 배달 매출 비중에 따라 수수료를 다르게 부과하는 이 제도가 부담을 줄일 것으로 기대하는 점주는 26%에 그쳤다.

반면, 공공배달앱 활성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점주는 44.4%로 나타났다.

외식업 점주들은 배달앱 수수료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지원과 공공배달앱 확대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0732

배달앱 수수료 부담에 메뉴 가격 인상…자영업자들 ‘이중 가격’ 도입 확대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국내 외식업 자영업자들이 배달앱 수수료를 가장 큰 경영 부담으로 느끼면서 상당수가 메뉴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조사됐다.소비자공익네트워크가 외식업 점주 502명

www.sankyungtoda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