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박우진 기자]
국내 기업 대부분이 올해 경제위기를 예상하며, 일부 기업은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보다 심각할 것으로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국내 50인 이상 기업 508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96.9%가 올해 경제위기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 22.8%는 IMF 외환위기보다 더 심각할 것으로 내다봤으며, 74.1%는 ‘IMF 수준은 아니지만 상당한 위기’가 올 것이라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경제 불안의 주요 원인으로 환율 변동성을 지목했다. 응답 기업 중 47.2%가 ‘환율 변동성 확대에 따른 수출 경쟁력 약화’를 가장 큰 위협 요인으로 꼽았다. 이어 ‘소비 심리 위축, 내수 부진 심화’(37.8%),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투자 심리 위축’(26%) 등의 우려도 높았다.
올해 기업들이 가장 심각한 애로사항으로 꼽은 것은 ‘통상임금 범위 확대에 따른 임금 부담’(38.4%)이었다. 지난해 대법원이 조건부 정기 상여금도 통상임금에 포함해야 한다고 판결하면서, 기업들은 인건비 상승과 노사관계 갈등 심화를 우려하고 있다.
이외에도 ‘중대재해처벌법 등 안전 규제 강화’(28.3%), ‘주 52시간제 등 근로 시간 규제’(22.8%)도 기업 부담 요인으로 지목됐다.
기업 34.5%는 올해 규제 환경이 지난해보다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57.4%,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8.1%에 그쳤다.
규제 악화 전망의 주요 이유로는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글로벌 무역 규제 강화’(45.7%)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국회의 기업 규제 입법 강화’(29.1%), ‘정부의 규제혁신 의지 약화’(26.9%) 순이었다.
기업들은 정부에 바라는 규제혁신 정책으로 ‘규제 총량 감축제 강화’(37.2%)를 가장 많이 요구했다.
김재현 경총 규제개혁팀장은 “기업들이 글로벌 무역 규제와 국내 정치 불안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규제개혁은 추가적인 예산 투입 없이도 기업 투자와 고용을 유도해 경제 활력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국내 기업 97% ‘올해 경제위기 예상’…환율·규제 부담 우려 < 경제 < 기사본문 - 산경투데이
국내 기업 97% ‘올해 경제위기 예상’…환율·규제 부담 우려
[산경투데이 = 박우진 기자]국내 기업 대부분이 올해 경제위기를 예상하며, 일부 기업은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보다 심각할 것으로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www.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예탁결제원, 토큰증권·AI 도입…디지털 금융 혁신 가속 (1) | 2025.03.06 |
---|---|
대한상의·법무부, 해외 진출 기업 위한 법률 지원 세미나 개최 (0) | 2025.03.06 |
홈플러스 법정관리 신청에 협력업체 긴장…납품 대금 우려 확산 (0) | 2025.03.06 |
한국 외환보유액 4,100억달러 아래로… 4년 9개월 만에 최저 (0) | 2025.03.06 |
홈플러스 기업회생 돌입… 신라면세점·CJ푸드빌 등 상품권 사용 중단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