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지난 1월 28일 김해국제공항에서 이륙을 준비 중이던 에어부산 BX391편 여객기에서 발생한 화재의 원인으로 보조배터리 내부 합선 가능성이 제기됐다.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는 14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의 정밀 분석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국과수 감식 결과, 기내에서 발견된 보조배터리 잔해에서 다수의 전기적 용융흔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배터리 내부에서 절연파괴로 인한 합선이 발생하면서 화재가 시작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됐다.
다만, 배터리의 훼손이 심해 정확한 합선 원인은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다.
국과수는 "항공기 내부 시설물에서 발화와 관련된 전기적 특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며 "항공기 자체의 전기 계통이 아닌 보조배터리가 화재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화재는 기내 좌측 30번 좌석 상단 선반 부근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승객이 촬영한 영상에서도 이 부위에서 최초 불길이 일어나는 모습이 확인됐다.
이와 관련해 항철위는 경찰 과학수사대 및 소방당국과의 합동 화재감식을 실시했으며, 확보된 증거물을 국과수로 보내 정밀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에는 컴퓨터단층촬영(CT) 및 현미경 검사가 포함됐다.
항철위는 "현재까지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보조배터리 발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추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필요한 경우 항공사 등에 안전 조치를 권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며, 추가적인 조사 결과 공개 여부는 사고 조사 진행 상황을 고려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1450
김해공항 에어부산 화재, 보조배터리 합선 가능성 제기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지난 1월 28일 김해국제공항에서 이륙을 준비 중이던 에어부산 BX391편 여객기에서 발생한 화재의 원인으로 보조배터리 내부 합선 가능성이 제기됐다.국토교통부 항공
www.sankyungtoda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AI-소프트뱅크, 日 샤프 공장 AI 데이터센터로 전환 추진 (0) | 2025.03.15 |
---|---|
덴마크 연기금, 테슬라 투자 철회…“머스크 리스크 감당 못해” (0) | 2025.03.15 |
홈플러스, 회생절차 속 채권 변제 약속…영세업자 우선 지급 방침 (0) | 2025.03.14 |
현대제철, 비상경영 돌입…임원 급여 삭감·희망퇴직 검토 (0) | 2025.03.14 |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기술 격차 확대가 핵심 과제'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