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이달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 속에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전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꺾였다. 다만,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 및 재지정에 따른 영향이 아직 본격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당국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3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이달 27일까지 전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같은 기간 대비 크게 둔화된 증가폭을 보였다. 전달에는 전체 가계대출이 4조3천억원 늘었으나, 이달엔 2조원 안팎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집중 관리했던 작년 12월과 유사한 수준이다.
대출 증가세 둔화에는 신학기·이사철 수요 소멸과 함께, 금융당국과 은행권이 지역별·월별로 신규 대출 승인 현황을 정밀하게 점검한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토허제의 해제 및 재지정과 관련해선 아직까지 대출 시장에 유의미한 변화는 감지되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은 서울 내 토허구역인 강남·서초·송파·용산의 대출 승인 건수가 타 지역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다만, 주택 매매와 실제 대출 실행 사이 1~2개월의 시차를 고려할 때, 토허제 해제 이후 거래 급증의 여파가 4월 이후 본격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당장은 수치가 안정적이지만, 대출 상담과 창구 방문이 증가하고 있어 경계심을 늦출 수 없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다주택자 및 갭투자자 대상 대출 규제를 다시 조이고 있으며, 필요 시 추가 대책도 검토 중이다. 은행권 또한 분기별 가계대출 목표를 지켜야 하는 상황에서 긴장하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분기 가계대출 관리 목표를 초과한 금융회사에 대해선 개별 면담 등을 통해 초과 원인을 점검하겠다”며 강력한 관리 의지를 재확인했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1974
가계대출 증가폭 반토막…금융당국, 토허제 해제 여파 예의주시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이달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 속에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전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꺾였다. 다만,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 및 재지정
www.sankyungtoday.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당 가계대출 평균 9600만원 육박...역대 최고 (0) | 2025.04.02 |
---|---|
IBK기업은행, 882억 부당대출 정황…검찰 전방위 압수수색 착수 (0) | 2025.04.02 |
억대 퇴직금·연봉 시대…은행권 ‘보상과 구조조정’ 병행 (2) | 2025.03.30 |
[한주간 증시] 외국인, SK하이닉스·방산주 담고 조선주 던졌다…개인은 정반대 행보 (1) | 2025.03.29 |
인플레이션 우려에 비트코인 8만5천달러 붕괴…가상화폐 전반 급락 (3)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