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시중은행들의 예대금리차가 8개월 연속 확대되며 수익성 지표가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예금금리는 빠르게 떨어지고 있는 반면, 가계대출 증가 우려로 대출금리는 쉽게 내려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5일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공시에 따르면, 올해 3월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실제 가계대출 기준 예대금리차는 1.38∼1.55%포인트(p)로 집계됐다. 이는 정책금융상품을 제외한 순수 민간 대출을 기준으로 한 수치다.
은행별로는 NH농협이 1.55%p로 가장 컸고, 신한(1.51%p), KB국민(1.49%p), 하나(1.43%p), 우리(1.38%p)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 5대 은행의 예대금리차는 모두 작년 7월 대비 0.7∼1.3%p 가량 확대됐다.
전체 19개 은행 가운데서는 전북은행이 7.17%p로 압도적인 격차를 보였다. 이어 한국씨티은행(2.71%p), 제주은행(2.65%p), 토스뱅크(2.46%p), 광주은행(2.34%p) 순으로 2%대를 넘겼다.
예대금리차는 일반적으로 금리 인하기에는 축소되는 경향이 있지만, 최근에는 역행하는 흐름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인하 기대 속에서 동결되고 있는 가운데, 은행들은 급증하는 주택담보대출을 억제하기 위해 대출금리를 쉽게 내리지 못하고 있다.
반면 예금금리는 빠르게 낮아지고 있다. 4월 들어 SC제일은행, 카카오뱅크, 우리은행, 토스뱅크, IBK기업은행 등이 잇따라 예금·적금 금리를 0.1∼0.5%p씩 인하했다.
이에 따라 5대 은행의 대표 정기예금(1년 만기) 금리는 연 2.58∼3.10%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3%대를 유지하는 상품은 NH농협의 우대조건 상품 하나뿐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며 가산금리 인하가 지연되고 있다”며 “예대금리차가 당분간 좁혀지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4월 말 기준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한 달 새 4조5천억원 이상 늘어나며, 지난해 9월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3조7천억원 이상 증가했다.
정부는 대출 쏠림과 이자 장사 논란에 대한 우려 속에, 은행권의 금리 조정 움직임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2887
예금금리 하락·대출금리 고정…시중은행 예대금리차 8개월 연속 확대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시중은행들의 예대금리차가 8개월 연속 확대되며 수익성 지표가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예금금리는 빠르게 떨어지고 있는 반면, 가
www.sankyungtoday.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반기 가계대출 더 조인다…7월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0) | 2025.05.06 |
---|---|
하나은행, 외부 사기 대출사고 3건 공시…피해액 64억 원 (0) | 2025.05.03 |
우리금융, 내부통제 개선 조건으로 동양·ABL생명 인수 승인 (0) | 2025.05.02 |
정치 테마주 변동성 확산…금감원, 불공정거래 특별단속 확대 (1) | 2025.05.01 |
3월 은행 예·대출 금리 동반 하락…예대금리차는 7개월째 확대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