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강인해 기자]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이 0.7명대로 떨어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합계출산율(1.59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인구절벽이 가속화하고 있는 것인데 생산인구 감소 등으로 경제적·사회적 위기가 닥칠 신호탄으로 볼 수도 있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2021년 대비 0.03명 줄었다. 합계출산율은 1974년(3.77명) 4명대에서 3명대로, 1977년(2.99명) 2명대로, 1984년(1.74명) 1명대로 떨어졌다. 이후 2018년(0.98명) 0명대로 떨어진 뒤에도 2019년 0.92명, 2020년 0.84명을 기록하는 등 하락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정부는 16년간 280조여원의 저출생 대응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출생아 수는 20년 전의 반 토막인 25만 명 수준이다. 한국 다음으로 출산율이 낮은 국가가 이탈리아인데 합계출산율이 1.24명으로 우리보다 0.46명이나 높다. 지난해 합계출산율과 출생아 수는 1970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최저치다.
연간 혼인 건수는 2년째 20만 건을 밑돌았고 처음 엄마가 되는 평균 나이는 33.0세로 전년보다 0.3세 높아졌다. 이는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고, OECD 평균(29.3세)보다 3.7세 높은 수준이다.
첫째 아이와 둘째 아이 이상을 아우르는 전체 평균 출산연령은 33.5세로 전년보다 0.2세 올랐다.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은 35.7%로 전년보다 0.7%포인트 증가했다.
연령별 출산율(해당 연령 여자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은 30대 초반이 73.5명으로 가장 높고, 이어 30대 후반 44.0명, 20대 후반 24.0명 순이었다.
인구 자연증가(출생-사망)는 2010년까지만 해도 20만명을 넘겼으나 2013년(17만명) 10만명대로 내려앉은 뒤 2017년 7만 2000명, 2018년 2만 8000명, 2019년 7600명 등으로 급속도로 줄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저출산·고령화로 노동 투입이 감소하면서 현재 2% 수준인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2050년 0%대 수준으로 떨어진다.
[저작권자ⓒ 산경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산경투데이(https://www.sankyungtoday.com)
합계출산율 0.78명 ′쇼크′...′인구절벽′ 가속화 (sankyungtoday.com)
합계출산율 0.78명 ′쇼크′...′인구절벽′ 가속화
[산경투데이 = 강인해 기자]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이 0.7명대로 떨어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합계출산율(1.59명)의 절반에도 미치
www.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남 집값 최대 1억 하락...이창용 "부동산 하락 속도 둔화" (1) | 2023.02.25 |
---|---|
'단톡방 조용히 나가기' 법안 발의... 카카오 "범위 확대 준비" (0) | 2023.02.24 |
국제선 늘자 1만원대 제주 항공권 15만원까지 '껑충' (0) | 2023.02.21 |
소주 1병 6000원?...지난해 이어 술값 또 오를듯 (0) | 2023.02.20 |
경유·휘발유 가격차 10원대...재역전 눈앞 (0) | 2023.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