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올해 상반기 주요 시중은행의 건설업 부실 대출 비율이 눈에 띄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전국은행연합회 경영공시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올해 상반기 말 건설업 총여신은 28조6790억원으로 이 중 고정이하여신은 4575억원(1.60%)이 었다.
지난해 상반기 말 총여신 24조1878억원 중 고정이하여신이 2825억원(1.17%)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년 새 부실 채권 비율이 0.43%포인트 올랐다.
은행들은 대출 채권을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분류하는데 고정이하여신은 석 달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부실 채권을 가리킨다.
은행별로는 NH농협은행의 건설업 대출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지난해 상반기 말 1.96%에서 올해 상반기 말 2.35%로 뛰어 5대 은행 중 가장 높았다.
같은 기간 KB국민은행은 1.58%에서 1.80%로, 우리은행은 0.26%에서 1.61%로, 하나은행은 1.13%에서 1.26%로, 신한은행은 0.70%에서 0.99% 등으로 일제히 건설업 부실 대출 비율이 올랐다.
다른 산업과 비교해도 건설업 대출 건전성은 유독 나빴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5대 은행의 전체 여신은 1008조1002억원으로, 이 중 고정이하여신은 3조6878억원(0.37%)으로 집계됐다.
제조업 대출은 285조2391억원 중 9212억원(0.32%), 도소매업 대출은 132조2964억원 중 5659억원(0.43%), 숙박·음식업 대출은 41조583억원 중 1767억원(0.43%)이 각 고정이하여신으로 잡혔다.
아울러 부동산업 대출은 227조3426억원 중 8534억원(0.38%), 서비스업·기타 대출은 293조4848억원 중 7131억원(0.24%) 등으로 0.5%를 밑돌았다.
이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험이 건전성 지표로 드러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태영건설 관련 부실 채권이 지난해 말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반영되면서 은행의 건전성 지표를 끌어내렸다.
아울러 큰 틀에서 내수 부진과 건설 업황 둔화가 건전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 6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2022년 이후 부동산 경기와 건설 업황이 부진해지면서 (PF 대출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며서 “금융기관 PF 대출 건전성이 악화한 가운데 증권사, 부동산 신탁사, 건설사의 우발 채무가 현실화하는 과정에서 다른 금융 부문으로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전망도 불투명한 만큼 은행들의 건전성 지표도 더 나빠질 여지가 있다.
한은은 지난달 경제전망에서 “주거용·상업용 중심의 입주 물량 축소와 신규 착공 위축 영향으로 공사 물량 감소가 본격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48099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마을금고, 저신용자 특례대출로 포용금융 확대 추진 (2) | 2024.09.09 |
---|---|
청년층 소액 대출 연체, 심각한 수준으로 증가...근본적 청년 정책 필요 (4) | 2024.09.09 |
주택담보대출 한도, 만기 축소·스트레스 DSR 규제로 최대 1억 이상 감액 (2) | 2024.09.08 |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다주택자 대출 길 막힌다 (4) | 2024.09.06 |
우리은행 '친인척 부당대출' 의혹, 손태승 전 회장 처남 체포 (4) | 2024.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