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삼성전자가 동반성장위원회가 선정하는 ‘2023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국내 기업 최초로 13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해마다 여러 기업들이 최우수 등급을 받지만, 동반성장지수 평가가 도입된 2011년부터 13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은 기업은 삼성전자가 유일하다.
동반성장지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지표로, 기업의 동반성장 수준을 평가해 매년 발표된다.
평가 등급은 최우수,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등 5단계로 나뉘며, 삼성전자는 상생추구와 정도경영을 핵심 가치로 삼아 협력사와의 다양한 협력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삼성전자는 2005년 국내 기업 최초로 협력사 거래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해 거래대금 지급 문화를 개선하는 데 앞장섰다.
또한, 2010년부터 약 1.4조 원 규모의 상생펀드를 조성해 협력사의 기술 개발과 설비 투자를 위한 자금을 저금리로 대출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삼성디스플레이와 함께 1조 원 규모의 '협력사 ESG 펀드'를 조성, 6년간 1차 협력사가 환경·안전 개선 및 고효율 생산설비 전환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분야에 투자할 수 있도록 무이자 대출을 지원한다.
또한, 원자재 가격 및 최저임금 인상분을 납품 단가에 반영하며, 반도체 우수 협력사에 인센티브도 제공해 왔다.
지난 2010년부터 지급된 인센티브만 약 6,700억 원에 달한다.
삼성전자는 협력사의 기술, 제조·품질, 원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방면의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2009년부터는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 협력해 협력사들이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할 수 있도록 기술 설명회를 개최해왔다.
또한 삼성전자가 보유한 특허 2,100여 건을 미거래 중소기업에 무상 양도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2013년부터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협력해 ‘공동투자형 기술개발사업’에 약 200억 원을 지원했으며, 2022년에는 300억 원의 신규 펀드를 추가로 조성해 차세대 기술과 ESG 기술 확보에 힘쓰고 있다.
협력사 임직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 삼성전자는 2013년에 상생협력아카데미를 설립해 지금까지 20만 명 이상의 협력사 직원들에게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이를 통해 삼성의 노하우를 전수하고, 제조와 품질, 구매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직무 교육을 지원해왔다. 더불어, 약 7,500명의 인재 채용을 협력사와 함께 진행했다.
또한,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중소기업의 제조 역량 강화를 위한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전국 3,300여 개의 중소기업이 삼성전자의 스마트공장 지원을 통해 제조 혁신을 이뤘으며, 올해부터는 이를 더욱 고도화한 '스마트공장 3.0' 사업을 추진해 중소기업의 ESG 경쟁력 향상 및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48608
삼성전자, 13년 연속 동반성장지수 최우수 등급 획득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삼성전자가 동반성장위원회가 선정하는 ‘2023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국내 기업 최초로 13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해마다 여러 기업들이 최우수 등급을
www.sankyungtoda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동남아서 '비스포크 AI 콤보' 테크 세미나 개최 (5) | 2024.10.09 |
---|---|
LG전자, 해상운임 폭등 부담 속 매출 성장…가전 구독이 견인 (8) | 2024.10.08 |
현대엔지니어링, 7년 연속 동반성장지수 최우수 등급 선정 (3) | 2024.10.08 |
티메프 경영진의 자조 "빚에 허덕이며 연명…자금 조달에만 집중" (2) | 2024.10.07 |
LG엔솔, 에너지 순환 비즈니스로 확장…2028년 매출 2배 성장 목표 (3) | 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