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SKT, 세계 최고 수준의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에 나선다

by 산경투데이 2024. 11. 4.
반응형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SK텔레콤은 4일부터 5일 양일간 열리는 ‘SK AI 서밋 2024’에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 계획을 발표하며 AI 인프라 기반의 강력한 혁신을 주도하겠다고 4일 밝혔다.

SKT는 AI 데이터센터, GPU 클라우드 서비스(GPUaaS), 에지 AI(Edge AI) 등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전국에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국내외 파트너와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유영상 SK ICT 위원장은 “대한민국이 ICT 강국으로 도약한 성공 방정식을 AI 시대에도 적용해,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를 통해 대한민국이 AI 선도국(G3)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앞장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먼저, SKT는 국내 지역 거점에 100MW 이상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DC)를 구축하고, 이를 점차적으로 GW급으로 확장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DC 허브’로 도약할 계획이다.

이들 데이터센터는 수소,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활용하고, 글로벌 확장을 위해 해저 케이블 연결도 고려하고 있다.

SKT는 또한 SK그룹의 차세대 반도체와 에너지 솔루션을 적용해 저비용·고효율의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한 테스트베드를 12월 판교에 오픈하며, 엔비디아 최신 칩과 차세대 액체 냉각 솔루션이 적용된 최첨단 설비를 공개할 예정이다.

 
SKT는 국내 GPU 공급 부족을 해결하고자 수도권의 가산 데이터센터를 AI 데이터센터로 전환하고, 클라우드 형태로 GPU를 제공하는 ‘GPUaaS’를 출시한다.

람다와의 협력을 통해 12월부터 H100 기반 GPUaaS를 시작하고, 내년 3월에는 최신 GPU H200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로 인해 국내 기업들이 GPU를 직접 구매하지 않고도 AI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며, SKT는 K-AI 반도체를 활용한 ‘한국형 소버린 AI’ 구현도 계획하고 있다.

 
SKT는 전국의 통신 인프라를 활용해 AI 데이터센터와 ‘온디바이스 AI’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에지 AI’를 도입할 예정이다.

에지 AI는 저지연성과 보안성이 뛰어나며, 대규모 AI 연산이 가능해 기존 AI 인프라를 보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SKT는 헬스케어, AI 로봇, AI CCTV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에지 AI 특화 서비스 발굴을 위한 실증 사업을 진행 중이다.

SKT는 정부 및 국내외 AI 기업들과 협력해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에너지 솔루션이 결합된 AI DC 토탈 솔루션을 글로벌 시장에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람다와의 GPUaaS 기반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6G와 AI 인프라 전환을 위한 기술 표준화를 주도할 예정이다.

유영상 CEO는 “SK텔레콤은 대한민국이 AI G3로 도약할 수 있도록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를 구축하고 있으며, 정부, 지자체, 기업들이 함께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가자”고 제안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SKT, 세계 최고 수준의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에 나선다 < IT < 산업 < 기사본문 - 산경투데이

 

SKT, 세계 최고 수준의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에 나선다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SK텔레콤은 4일부터 5일 양일간 열리는 ‘SK AI 서밋 2024’에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 계획을 발표하며 AI 인프라 기반의 강력한 혁신을 주도하겠다고 4일 밝

www.sankyungtoda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