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삼성전자가 11월 4~5일 양일간 ‘삼성 AI 포럼 2024’를 개최하고, 글로벌 인공지능(AI) 석학들과 함께 AI의 미래에 대해 논의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삼성 AI 포럼’은 세계적인 AI 및 컴퓨터 공학 분야 석학들을 초청해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AI 기술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포럼의 주요 기조 강연에는 ▲딥러닝 권위자인 요슈아 벤지오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 ▲메타의 수석 AI 과학자 겸 뉴욕대 교수인 얀 르쿤 ▲지식 그래프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옥스퍼드대 이안 호록스 교수 등이 참여해 AI 기술과 미래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삼성전자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은 개회사에서 “AI가 놀라운 속도로 우리 삶을 변화시키고 있다”면서 “삼성전자는 AI 생태계를 더욱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1일차: 'AI와 반도체 기술을 통한 지속 가능한 혁신 방안' 논의
포럼 첫날에는 삼성전자 SAIT(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가 주관한 '인공지능과 반도체 기술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혁신 방안'을 주제로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에서 참석자들은 차세대 반도체 개발 및 생산을 위한 AI와 컴퓨터 공학 기술의 최신 성과를 공유하고, 미래의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벤지오 교수는 'AI 안전을 위한 베이지안 오라클(Bayesian Oracles for AI Safety)'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그는 “AI가 안전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사전 설계 단계에서 안전성을 고려해야 하며, 국가 및 기업 간 협력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튜링상 수상자인 얀 르쿤 교수는 현재 거대언어모델(LLM)의 한계를 지적하고, 인간 지능에 도달하기 위해 추가적인 기술 혁신이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했다.
AMD의 CTO 조세프 마크리 부사장도 ‘어디에나 존재하는 AI’를 주제로 강연하며 AMD의 AI 솔루션과 협업의 중요성 등을 설명했다.
이날 '삼성 AI 연구자상'에는 수란 송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를 비롯한 5명이 선정돼 수상자들의 현장 강연이 이어졌다.
2일차: '일상생활을 위한 디바이스 AI' 주제로 다양한 발표 이어져
포럼 2일차는 삼성리서치가 주관해 삼성전자 서울R&D캠퍼스에서 '모두의 일상생활을 위한 디바이스 AI'라는 주제로 열렸다.
삼성리서치 김대현 글로벌 AI센터장(부사장)은 “디바이스 AI의 발전이 일상생활의 변화를 가속화하고 있다”며 포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강연에는 삼성전자가 올해 7월 인수한 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OST)의 공동 창립자인 이안 호록스 교수가 참여해 ‘지식 그래프를 적용한 개인화 AI 서비스 기술’을 발표했다.
그는 지식 그래프가 사람의 지식 저장 방식을 모방해 데이터 처리에 활용된다고 설명하며, 이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구현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삼성리서치 이해준 마스터는 거대언어모델의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고품질의 데이터, 아키텍처, 안정된 훈련 기법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이전 모델의 재사용을 통해 학습 효율과 성능을 높일 수 있음을 설명했다.
삼성 AI 포럼 2024는 세계적 AI 석학들과의 지식 교류와 협력을 통해 AI의 지속 가능성과 책임 있는 발전을 모색하는 자리로 평가받고 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산경투데이
단독, 우주, 산업, 경제, 시사, 금융, 전국, 기사 등 수록
www.sankyungtoday.com
삼성전자, ‘AI 포럼 2024’ 개최…글로벌 석학들과 AI 미래 논의 < IT < 산업 < 기사본문 - 산경투데이
삼성전자, ‘AI 포럼 2024’ 개최…글로벌 석학들과 AI 미래 논의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삼성전자가 11월 4~5일 양일간 ‘삼성 AI 포럼 2024’를 개최하고, 글로벌 인공지능(AI) 석학들과 함께 AI의 미래에 대해 논의했다.올해로 8회째를 맞은 ‘삼성 AI 포럼’은
www.sankyungtoda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DL이앤씨, 美 GTPP 현장에 '루프 리액터' 설치...2026년 준공 목표 (4) | 2024.11.06 |
---|---|
김범수, 보석 닷새만에 압수수색 연이어…끝없는 위기 속 카카오 (2) | 2024.11.05 |
산업부·KOTRA, 일본서 한국 에듀테크 수출 활성화 나서 (3) | 2024.11.05 |
엔씨, 12년 만에 적자 전환…고정비 구조 개편·신작 출시로 재도약 모색 (3) | 2024.11.04 |
SKT, 세계 최고 수준의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에 나선다 (2) | 2024.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