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소비자물가 5개월 만에 2%대 재진입…국제유가·환율 상승 영향

by 산경투데이 2025. 2. 5.
반응형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여가며 5개월 만에 다시 2%대를 기록했다.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 상승이 물가 인상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5.71(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7월(2.6%)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중반 2~3%대를 유지하다가 9월 1.6%로 떨어졌고, 10월에는 1.3%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이후 다시 상승세를 보이며 11월 1.5%, 12월 1.9%를 기록한 후 1월까지 상승세를 이어갔다.

주요 상승 요인 중 하나는 석유류 가격으로, 전년 동월 대비 7.3% 올랐다.

이는 지난해 7월(8.4%) 이후 최고 상승률이며, 전체 물가 상승에 0.27%포인트 기여했다. 통계청은 국제유가와 환율 상승, 그리고 전년 대비 낮은 기저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 물가가 3.5% 상승하며 전체 물가 상승에 0.68%포인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실손보험료 등 보험서비스료 인상과 여행 수요 증가에 따른 국내·해외 단체 여행비, 콘도 이용료 상승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가공식품 가격도 2.7% 상승하며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이는 전체 물가 상승에 0.23%포인트 영향을 주었다.

농축수산물 가격도 1.9% 상승했다. 특히 배추(66.8%)와 무(79.5%) 가격이 크게 올랐으며, 김(35.4%)과 당근(76.4%)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통계청은 기상 악화로 인한 산지 출하 물량 감소가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파(-32.0%), 감(-23.2%), 바나나(-13.8%) 등의 가격은 하락했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5%로 지난해 7월(3.0%)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0% 상승하며 지난해 7월(2.1%) 이후 다시 2%대를 회복했다.

OECD 방식의 근원물가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전년 대비 1.9% 상승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최근 환율 상승이 석유류 가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가공식품과 기타 원자재 가격에는 다소 시차를 두고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소비자물가 5개월 만에 2%대 재진입…국제유가·환율 상승 영향 < 경제 < 기사본문 - 산경투데이

 

소비자물가 5개월 만에 2%대 재진입…국제유가·환율 상승 영향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여가며 5개월 만에 다시 2%대를 기록했다.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 상승이 물가 인상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통계청

www.sankyungtoda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