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미국의 25% 자동차 관세 부과 여파로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자동차 생산 시장이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한국은 올해와 내년 두 해에 걸쳐 승용차 생산량이 총 31만5천 대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현지 생산조차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24일 시장조사업체 S&P 글로벌 모빌리티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주도로 이달부터 적용된 자동차 관세와 이에 따른 보복성 상호 관세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승용차 생산량은 총 94만4천 대가 감소하고, 내년에도 77만8천 대 줄어드는 등 관세의 부정적 영향이 2년 연속 이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경우, 관세 충격과 정치적 불안정성이 동시에 작용하며 올해 11만2천 대, 내년 20만3천 대 등 총 31만5천 대가 줄어들 전망이다. 일본 역시 연간 30만 대씩 감소하며 총 60만 대 생산 손실이 예상된다.
특히 유럽은 올해 감소폭이 1만2천 대에 불과했지만, 내년에는 25만1천 대로 급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중국 역시 올해 19만8천 대, 내년 50만3천 대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미국 내 생산 확대를 목적으로 시행된 이번 조치가 오히려 자국 내 생산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는 진단도 나왔다. S&P는 북미 지역의 승용차 생산이 올해 94만4천 대, 내년 77만8천 대 감소하며 코로나19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관세 환경 속에서도 BMW, 혼다 등 일부 글로벌 완성차 업체가 현지 생산을 확대하고 있어 2027년에는 북미 생산량이 1,547만 대 수준으로 유지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S&P 글로벌 모빌리티는 "미국의 관세 정책은 최소한 향후 2년간 전 세계 자동차 산업에 구조적 위협이 될 것"이라며 "특히 북미 지역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美 '25% 車관세' 역풍…한국 내년까지 車 31만대 생산 감소 전망 < 경제/정책 < 경제 < 기사본문 - 산경투데이
美 '25% 車관세' 역풍…한국 내년까지 車 31만대 생산 감소 전망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미국의 25% 자동차 관세 부과 여파로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자동차 생산 시장이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됐다.특히 한국은 올해와 내년 두 해에 걸쳐 승용차 생
www.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 1분기 역성장 충격에 약세…외국인·기관 매도세 지속 (1) | 2025.04.24 |
---|---|
한국 경제, 다시 ‘역성장’…1분기 GDP -0.2% 후퇴 (1) | 2025.04.24 |
반도체 훈풍에 4월 기업 체감경기 소폭 개선…美 관세 여파는 여전 (0) | 2025.04.24 |
뉴욕증시 이틀 연속 상승…기술주 급등·미중 갈등 완화 기대 (1) | 2025.04.24 |
트럼프 발언에 뉴욕증시 반등…관세·금리 유화 메시지에 기술주 강세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