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강인해 기자]
여성이 퇴직시 퇴직금을 남성의 절반 수준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2021년 귀속 연령별·근속연수별·성별 퇴직소득 자료’를 보면 2021년 여성 퇴직자 135만9167명의 퇴직급여는 13조4774억원으로 1인 평균 991만 5953원이었다.
같은 해 남성 퇴직자는 194만4018명이었고, 이들의 퇴직급여는 36조1151억원, 1인 평균 1857만7552원으로 여성 퇴직자 보다 1.9배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50대(54만5828명)의 1인당 평균 퇴직금이 3035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40대(56만6483명) 1792만원, 60대(100만690명) 1219만원, 30대(66만3040명) 1179만원 순이었다. 30대 1인당 평균 퇴직금은 전체 퇴직자의 평균 퇴직금(1501만원)의 78.6% 수준이었다.
근속연수별로는 20년 이상~30년 미만 퇴직자(3만5263명)가 1인당 1억8946만원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퇴직금을 받았다. 이어 30년 이상(5만3340명)이 1억8368만원, 10년 이상~20년 미만(18만2590명) 6172만원, 5년 이상~10년 미만(53만465명) 1920만원, 5년 미만(250만2916명) 466만원 순이었다.
5년 미만 일한 퇴직자는 250만명으로, 이들의 총 퇴직급여는 11조6689억원, 1인당 466만원 수준이었다.
진 의원은 "퇴직 소득자 74%인 245만명이 1천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퇴직급여를 수령하는 상황에서 경영성과와 무관한 고액의 수당이나 퇴직금에 대한 세무조사가 부실하다"고 지적했다.
또 “전체 퇴직자의 74%가 100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퇴직급여를 수령하는 상황에서 경영성과와 무관한 고액의 수당이나 퇴직금에 대한 세무조사가 부실한 상황”이라며 “비(非) 장기 근속 임직원에 지급하는 고액의 대가성 급여에 대한 세무조사를 강화하고 철저히 추징해야 한다”고 말했다.
[ⓒ 산경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산경투데이(https://sankyungtoday.com)
https://sankyungtoday.com/news/view/1065585377465199
30대 퇴직금 평균 1179만원...남성, 여성의 1.9배
[산경투데이 = 강인해 기자] 여성이 퇴직시 퇴직금을 남성의 절반 수준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2021년 귀
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산, 美 최대 자동화 솔루션 기업과 협동로봇 개발·공급 맞손 (1) | 2023.05.01 |
---|---|
"직장 '3대갑질'은 직장내 괴롭힘·야근·징계해고" (0) | 2023.04.30 |
'학원비 2만원 인상 담합' 태권도장에 공정위 '경고' (0) | 2023.04.29 |
유류세 인하에도 휘발유 판매가 4주 연속 상승 (0) | 2023.04.29 |
'노조 탄압' 의혹 다이소 "부당노동행위 없었다" (0) | 2023.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