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지난 5년간 은행의 가계 신용대출자가 105만여명이 늘었다. 이들 은행의 가계 신용대출이 대부분 고신용자에 집중돼 은행들이 손쉬운 이자 장사를 하면서 중저신용자를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5대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의 가계 신용대출자 수는 615만1000명으로 2018년 말의 510만명에 비해 105만1000명이 늘었다.
이 기간 모든 연령층에서 가계 신용대출자가 늘었는데 사회 초년생인 20대와 가정에서 중심 역할을 하는 40대가 가장 많이 증가했다.
20대의 경우 2018년 말 34만3000명에서 지난해 말 59만2000명으로 24만9000명 늘었다. 40대의 경우 158만9000명에서 189만4000명으로 30만5000명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30대는 16만8000명이, 50대와 60대 이상도 각각 19만1000명과 13만7000명 씩 늘었다.
지난해 말 은행별 가계 신용대출자는 KB국민은행이 129만6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카카오뱅크 93만7000명 ▲NH농협은행 80만3000명 ▲신한은행 79만6000명 ▲하나은행 78만5000명 ▲우리은행 67만3000명 ▲케이뱅크 48만3000명 ▲토스뱅크 27만8000명 등의 순이었다.
문제는 이들 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형태가 대부분 고신용자에 집중됐다는 점이다.
지난해 말 가계 신용대출자 615만1000명 중 448만1000명이 신용평점 850점 이상 고신용자였다. 가계 신용대출 잔액 145조6467억원 가운데 117조1535억원이 이들이 빌린 돈이었다.
은행들은 고신용자 위주의 손쉬운 영업으로 수익이 늘어난 반면 저축은행은 저신용자 위주로 영업하다보니 연체율 등이 급증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은행들의 연체율이 양호한 만큼 중저신용자에 대한 대출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윤창현 의원은 “최근 시중은행들의 달라지는 영업 관행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고소득자와 자산가 등 최고 신용등급 위주의 영업에서 벗어나 중신용자에 대한 문턱을 낮추는 등 국민경제에 대한 의무를 다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산경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산경투데이(https://sankyungtoday.com)
https://sankyungtoday.com/news/view/1065568067694603
은행 신용대출자 105만명 늘었는데...고신용자 위주 ‘이자장사’
[산경투데이 = 이하나 기자] 지난 5년간 은행의 가계 신용대출자가 105만여명이 늘었다. 이들 은행의 가계 신용대출이 대부분 고신용자에 집중돼 은행들이 손쉬운 이자 장사를 하면서 중저신용자
sankyungtoday.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최종 금리 공시 일정 변경...금융위 “우대금리 재산정” (31) | 2023.06.12 |
---|---|
KB국민은행,‘모바일 화상상담 서비스’고도화 시행 (13) | 2023.06.12 |
신한은행, 걸핏하면 ‘전산오류’...시중은행 전산사고 1위 오명 (18) | 2023.06.09 |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윤곽...‘5년간 5000만원 적립’ 쉽지 않네 (4) | 2023.06.09 |
‘불법 리베이트’ 의혹...검찰, 박차훈 새마을금고 회장 압수수색 (3) | 2023.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