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
중국이 반체제 인사들을 억압하기 위해 해외 각국에 개설한 ‘비밀경찰서’가 국내에서도 운영되고 있다는 폭로가 나오자 정부가 실태 파악에 나섰다.
국제인권단체 '세이프가드 디펜더스'는 지난 9월 중국이 ‘해외 110 서비스 스테이션’이라는 이름의 비밀 해외경찰서 54곳을 불법 운영 중이라고 폭로한 데 이어 최근엔 한국 등 48곳에서도 추가 시설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 인권단체는 중국이 한국에선 비밀경찰서 1곳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의 실태 파악을 통해 중국 정부가 국내에 ‘비밀경찰서’를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면 주권 침해·사법 방해 소지가 커 한·중 관계가 크게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확인을 위해 군·경찰의 방첩 조직과 외교부 등 관계기관을 가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중국이 실제로 국내에서 비밀경찰을 운영하고 있는지, 또 비밀경찰의 존재가 확인될 경우 법 위반 사항은 없는지 등을 점검할 방침이다.
비밀경찰서는 해외 체류 중인 반체제 인사들을 중국으로 돌려보내고, 정보 수집 활동을 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해당 인권단체는 프랑스·스페인·세르비아에서 중국 국적자가 비밀경찰의 협박을 받고 귀국한 사례를 들었다.
중국 당국은 이 같은 사실을 부인하며 '110 스테이션'은 자국민의 운전면허 갱신, 현지 주택 등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사 콜센터’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해명이 사실이더라도 대사관·영사관과 같이 주재국의 승인을 받은 공식 외교공관이 아닌 곳에서 영사 업무를 처리하면 비엔나 협약 위반이다. 여기에다 일본·캐나다·네덜란드 정부는 자국에서 중국 비밀경찰서를 확인했다고 밝혀 논란이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산경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산경투데이(https://www.sankyungtoday.com)
중국 비밀경찰이 한국에도?...정부 실태 파악 (sankyungtoday.com)
중국 비밀경찰이 한국에도?...정부 실태 파악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 중국이 반체제 인사들을 억압하기 위해 해외 각국에 개설한 ‘비밀경찰서’가 국내에서도 운영되고 있다는 폭로가 나오자 정부가 실태 파악에 나섰다. 국제인권단
www.sankyungtoday.com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찰, 이재명 대표에 '성남FC 뇌물의혹'관련 피의자 출석 통보 (0) | 2022.12.22 |
---|---|
바이든 미 대통령, '러시아 침공 300일' 우크라이나에 패트리엇 지원 (0) | 2022.12.22 |
인하대 '성폭행 추락사' 남성에게 검찰, 무기징역 구형 (0) | 2022.12.20 |
당정 "2027년까지 국민소득 4만 달러 시대 열겠다" (0) | 2022.12.19 |
북한 "서해위성발사장서 정찰위성 개발위한 중요 시험" (0) | 202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