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Carbon Disclosure Project)로부터 수자원 관리(Water Security) 분야에서 상위 등급인 '리더십' 등급(A-)을 획득했다고 12일 밝혔다.
CDP는 2000년 영국에서 설립된 후 전 세계 주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환경 이슈 대응 관련 정보 공개를 요청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해왔다.
2024년에는 2만4,800여 개 기업이 참여했으며, 이 평가는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등과 함께 주요 글로벌 지속가능성 지표로 꼽힌다.
기업들은 전략, 목표, 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균형 잡힌 점수를 받아야만 상위 등급을 획득할 수 있어, 높은 대외 신인도를 인정받는 지표로 평가된다.
특히 글로벌 제약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아스트라제네카(AZ), 노바티스 등 주요 빅 파마(Big Pharma)들이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 선정 시 기후변화 대응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CDP 지표를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DP 평가는 공개(D- 또는 D), 인식(C- 또는 C), 관리(B- 또는 B), 리더십(A- 또는 A) 등급 순으로 부여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평가에서 A- 등급을 받으며 글로벌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리더십을 인정받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평가에서 자연자본전략 및 수질 오염 관리, 수자원 재이용률 목표 설정, 수자원의 취수·방류·소비 데이터의 정확성 및 신뢰성 확보 등의 활동을 통해 우수한 ESG 역량을 입증했다.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생산 능력 확충뿐만 아니라 ESG 경영에도 전사적 역량을 집중해 온 삼성바이오로직스는 4년 연속 DJSI 월드 지수에 편입되며 지속가능한 CDMO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주요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인 지속가능한 시장 이니셔티브(SMI, Sustainable Markets Initiative)에서는 존 림 대표가 헬스 시스템 태스크포스(TF)의 공급망 분야 의장을 맡아 글로벌 ESG 리더십을 확고히 하고 있다.
SMI는 2020년 세계경제포럼(WEF) 이후 영국 찰스 3세 국왕 주관으로 출범한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이니셔티브로, 존 림 대표는 GSK, AZ, 머크, 노보노디스크, 로슈, 사노피 등 주요 글로벌 제약사 CEO들과 함께 참여하고 있다.
또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3년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의 성과를 인정받아 SMI에서 탄소 중립을 위한 구체적이고 혁신적인 로드맵을 제시한 기업들에게만 수여하는 '테라 카르타 실(Terra Carta Seal)'을 수상하기도 했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앞으로도 공급망 ESG 평가 강화 등 지속가능한 공급망 운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며 "글로벌 ESG 리더로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로부터 신뢰받고, 인류의 더 나은 미래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삼성바이오로직스, CDP 수자원 관리 평가서 '리더십' 등급(A-) < 산업 < 기사본문 - 산경투데이
삼성바이오로직스, CDP 수자원 관리 평가서 '리더십' 등급(A-)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Carbon Disclosure Project)로부터 수자원 관리(Water Security) 분야에서 상위 등급인 '리더십'
www.sankyungtoda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씨소프트, 첫 적자 기록…리니지 한계와 신작 실패 직면 (0) | 2025.02.13 |
---|---|
SK텔레콤, 지난해 영업이익 1.8조 원… AI 사업 성장 지속 (0) | 2025.02.12 |
효성중공업, AI 시대 맞춰 지능형 전력기기 솔루션 공개 (0) | 2025.02.12 |
한화호텔, 8,700억 원 투입해 아워홈 지분 58.62% 인수 추진 (0) | 2025.02.12 |
한미 경영권 분쟁 막바지…4인 연합, 주도권 굳히기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