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국내 정보기술(IT) 업계를 대표하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상반된 전략을 내세우며 경쟁에 본격 돌입했다.
네이버는 자체 AI 모델 개발을 강화하는 ‘소버린 AI’ 전략을 내세우는 반면, 카카오는 글로벌 AI 기술과 협업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양사의 전략 차이는 향후 실적과 시장 지배력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네이버는 AI 독자 기술을 강화하는 ‘소버린 AI’ 전략을 통해 검색, 커머스, 금융 등 주요 서비스에 AI를 적용하고 있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10조7377억 원, 영업이익 1조9793억 원을 기록하며 국내 인터넷 플랫폼 기업 중 최초로 연매출 10조 원을 돌파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의 이사회 복귀가 예정돼 있어, 향후 AI 사업 확장에 더욱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네이버는 클로바X 등 자체 AI 모델을 기반으로 AI 기술을 내재화하며 장기적인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카카오는 자체 AI 모델 개발보다는 글로벌 AI 기술과의 협력을 통해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했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7조8738억 원으로 소폭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4915억 원으로 다소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특히 AI 사업 부문의 영업손실이 반영되면서 수익성 저하가 두드러졌다.
카카오는 오픈AI와 협력해 ‘AI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AI 모델을 조화롭게 운영하는 방식으로, 단일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고 빠른 서비스 최적화를 목표로 한다.
최근 카카오는 오픈AI CEO 샘 올트먼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챗GPT를 자사 AI 서비스 ‘카나나’에 결합하는 등 AI 경쟁력 강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네이버는 자체 AI 기술을 내재화하며 장기적으로 독립적인 AI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반면, 카카오는 글로벌 AI 기술을 적극 활용해 빠른 시장 대응과 서비스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두 기업의 전략 차이는 향후 플랫폼 시장 경쟁 구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독자적인 AI 모델을 통한 서비스 확장과 수익 창출을 기대하고 있으며, 카카오는 글로벌 AI 트렌드를 빠르게 반영해 서비스 완성도를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네이버·카카오, AI 전략 맞대결…자체 개발 vs 글로벌 제휴 < 산업 < 기사본문 - 산경투데이
네이버·카카오, AI 전략 맞대결…자체 개발 vs 글로벌 제휴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국내 정보기술(IT) 업계를 대표하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상반된 전략을 내세우며 경쟁에 본격 돌입했다.네이버는 자체 AI 모델 개발을 강화하는
www.sankyungtoda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생활건강, 논란된 인플루언서 광고 협업 사과 (0) | 2025.02.14 |
---|---|
박현종 전 bhc 회장, BBQ 전산망 불법 접속 혐의로 집행유예 확정 (1) | 2025.02.13 |
한미반도체, 1300억 규모 자사주 소각…기업가치 상승 기대 (0) | 2025.02.13 |
내수 판매 급감…수출 의존도 높아지는 한국GM의 위기 (1) | 2025.02.13 |
엔씨소프트, 첫 적자 기록…리니지 한계와 신작 실패 직면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