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네이버가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선정한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에서 세계 100대 로봇 핵심 기업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삼성, 현대차, LG 등과 함께 포함됐으며,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으로는 네이버가 유일하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로봇 산업을 ▲AI 칩, 소프트웨어, 반도체 등을 개발하는 '브레인' ▲하드웨어를 제작하는 '바디' ▲완전한 로봇을 개발하는 '인테그레이터'로 구분했다.
네이버는 테슬라, 애플, 아마존, 삼성, 현대차, LG, 소니 등과 함께 '인테그레이터'로 평가받았다.
특히 네이버는 AI, 로보틱스, 자율주행 등 다양한 기술을 보유한 점에서 차별화된 평가를 받았다.
거대언어모델(LLM),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로봇 OS 등 로봇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다방면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중심의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주로 '브레인' 부문에 속한 것과 달리, 네이버는 종합 로봇 기업으로 인정받았다.
네이버는 매출의 20~25%를 연구개발(R&D)에 투자하며, 네이버랩스를 중심으로 로봇 분야에 대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로 자율주행 로봇 '루키', 양팔 로봇 '엠비덱스', 그리고 세계 최초 로봇 친화형 건물로 인증받은 '1784' 사옥이 있다. 1784에는 100여 대의 서비스 로봇 '루키', 로봇 전용 엘리베이터 '로보포트', 5G 네트워크 기반의 'ARC' 시스템이 가동 중이다.
네이버의 로봇 기술은 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1784의 기술을 경험한 후 네이버를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 파트너로 선정했다.
네이버는 최근 사우디 리야드에 '네이버 아라비아' 법인을 설립하고 본격적인 사업 확장을 추진 중이다.
한편, 네이버는 지난해 10조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3월 주주총회에서 이해진 창업자의 7년 만의 이사회 의장 복귀를 앞두고 있다. 이 창업자의 복귀를 계기로 AI와 로봇 등 신사업에 더욱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0747
네이버, 모건스탠리 '휴머노이드 100' 선정…세계 로봇 산업 선도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네이버가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선정한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에서 세계 100대 로봇 핵심 기업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국내 기업 중에서는 삼성, 현대차, LG
www.sankyungtoda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다, 카카오모빌리티 상대 손해배상 소송…‘배차 몰아주기’ 주장 (0) | 2025.02.16 |
---|---|
포스코이앤씨, ‘경기권 최대어’ 성남 은행주공 재건축 사업 수주 (0) | 2025.02.16 |
아마존, 이탈리아서 12억 유로 부가세 탈세 혐의로 조사 (0) | 2025.02.16 |
한화호텔, 아워홈 인수 추진…재무 부담·경영권 분쟁 변수 (0) | 2025.02.16 |
두산건설, ‘성남 은행주공’ 수주 총력…공사비 동결·빠른 입주 제안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