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박우진 기자]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인 딥시크가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으로 인해 국내에서 신규 서비스를 잠정 중단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는 17일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이 지난 15일 오후 6시부로 국내 서비스 운영을 일시 중단했다"며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보완 조치를 거친 후 서비스가 재개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개인정보위가 딥시크의 개인정보 처리 방식에서 미흡한 부분을 발견하고, 개선이 이루어질 때까지 서비스 중단을 권고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국내 애플 앱스토어 및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는 딥시크 앱의 신규 다운로드가 제한되며, 기존 이용자는 앱을 계속 사용할 수 있으나 개인정보 입력 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개인정보위는 당부했다.
개인정보위는 딥시크의 국내 다운로드 및 이용자 규모를 공식적으로 파악하지 못한 상태이며, 딥시크 측과 협의해 이를 추정할 계획이다.
앞서 개인정보위는 딥시크의 개인정보 처리 논란이 확산하자 지난달 31일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방식 및 활용 방안 등에 대한 공식 질의를 보냈다.
개인정보위 분석 결과,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시 구체적인 고지가 미흡하고, 필요 이상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등의 문제가 일부 확인됐다.
이에 따라 딥시크 측은 국내 법률대리인을 선임하고, 개인정보위의 요구사항을 준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개인정보위는 서비스 중단 기간 동안 딥시크의 개인정보 처리 실태를 철저히 점검하고, 국내 법규 준수를 위한 개선을 유도할 계획이다.
과거 글로벌 AI 서비스들의 실태 점검에 수개월이 소요된 사례가 있었으나, 이번 점검은 한 개의 서비스에 집중되는 만큼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태 점검이 완료되면 해외 AI 기업이 국내에서 서비스 출시 전에 준수해야 할 가이드라인도 함께 마련될 예정이다.
또한, 개인정보위는 AI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간 균형을 맞추기 위해 관련 법 개정을 추진하며, 오는 9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글로벌 프라이버시 총회(GPA)에서 주요국 감독기구와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남석 개인정보위 조사조정국장은 "기존에 딥시크를 사용 중인 이용자들은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며 "점검 과정에서 기존 이용자 보호를 위한 추가 조치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0766
중국 AI 서비스 딥시크, 개인정보 보호 문제로 국내 운영 중단
[산경투데이 = 박우진 기자]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인 딥시크가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으로 인해 국내에서 신규 서비스를 잠정 중단했다.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는
www.sankyungtoda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용 회장, 지난해 배당금 3,465억 원 수령…국내 최다 (0) | 2025.02.18 |
---|---|
최재원 SK 수석부회장, SK텔레콤 합류…AI 전략 강화 기대 (0) | 2025.02.18 |
현대건설, 사우디서 5,125억 원 규모 송전선로 건설 수주 (0) | 2025.02.17 |
신풍제약 前대표,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로 검찰 고발 (0) | 2025.02.17 |
현대백화점, ‘농약 우롱차’ 논란에 대표이사 공식 사과·환불 조치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