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경투데이 = 박형준 기자]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했다. 이는 2021년 10월 이후 1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이다. 물가 상승률은 4개월 연속 둔화하고 있다.
석유류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전체 인플레이션 압력을 줄이는 양상이다. 작년 상반기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른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했다.
품목별로는 석유류가 물가 둔화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석유류는 1년 전보다 18.0% 내렸다. 경유는 24.0%, 휘발유는 16.5%, 자동차용 LPG는 13.1% 각각 하락했다.
전체 물가상승률에 대한 석유류의 기여도는 -0.99%포인트로 전달(-0.90%포인트)보다 '마이너스' 폭이 더 커졌다. 석유류가 물가상승률을 1%포인트가량 떨어뜨렸다는 뜻이다.
농축수산물도 작년 동월 대비 0.3% 하락하면서 물가상승률을 0.03%포인트 낮추는 요인이 됐었다.
반면 전기·가스·수도 가격은 23.2% 올랐다. 전기요금 인상 등과 맞물려 전달(23.7%)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20%대 오름세를 이어간 것이다. 전기료는 25.7%, 도시가스는 25.9%, 지역 난방비는 30.9% 각각 올랐다.
외식 물가도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다. 외식 가격은 6.9% 상승하면서 물가상승률을 0.90%포인트 끌어올렸다. 외식 부문의 생선회 가격이 6.4% 올랐다.
월세와 전세 등 집세는 작년 동월 대비 0.6% 상승했다.
다만 최근의 전셋값 하락세와 맞물려 전월 대비로는 0.1% 하락했다. 집세가 전월비 하락한 것은 2019년 6월 이후 처음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도 전체 소비자물가의 둔화 속도보다는 더디지만 하락하는 흐름을 나타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4.3% 올라 전월(4.6%)보다 상승 폭이 줄었다.
또 다른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의 상승률은 4월 4.0%에서 5월 3.9%로 0.1%포인트 하락했다.
당분간 물가 상승률은 더 둔화할 것으로 보이나 이후로는 일정 부분 불확실성이 있다.
통계청 김보경 심의관은 "그간 근원물가가 많이 하락하지는 않는 모습을 보였지만 5월에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가 소폭이나마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도 많이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당분간 물가 상승률이 더 둔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획재정부 장보현 물가정책과장은 "향후 물가 안정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지만 국제에너지 가격, 기상 여건 등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물가 안정 기조 안착을 위해 계속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 중반까지 뚜렷한 둔화 흐름을 보이다가 이후 다시 높아지면서 연말께 3% 내외를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 산경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 산경투데이(https://sankyungtoday.com)
https://sankyungtoday.com/news/view/1065588105129052
5월 소비자물가 3.3% 상승, 석유류 가격 하락에 물가 상승률 둔화
[산경투데이 = 박형준 기자]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했다. 이는 2021년 10월 이후 1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이다. 물가 상승률은 4개월 연속 둔화하고 있다.석유류 가격이
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층기획] 일본 원전 오염수 공포에 떠오르는 천일염 (0) | 2023.06.07 |
---|---|
[심층기획] 국고 말라가고 있는데 여야는 감세정책 경쟁 (0) | 2023.06.07 |
코로나19 3년 4개월만에 격리 해제 일상회복 (0) | 2023.06.01 |
후쿠시마 시찰단 "진전 있어"...야당 "국민기만" (0) | 2023.05.31 |
IAEA 조사단, 후쿠시마 오염수 최종조사 돌입 (0) | 202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