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박명준 기자]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달과 화성을 향한 탐사에 또 한 걸음을 내디뎠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는 19일(현지시간) 자사가 개발한 대형 우주선 '스타십(Starship)'의 여섯 번째 지구궤도 시험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시험비행은 미국 텍사스주 보카치카 해변에 위치한 우주발사시설 '스타베이스'에서 이뤄졌다.
발사는 오후 4시(미 중부시간)에 진행되었으며, 전체 2단 구조로 이루어진 스타십의 첫 번째 단, 즉 '슈퍼헤비(Super Heavy)' 로켓 부스터는 발사 약 3분 후에 상단 우주선인 스타십에서 순조롭게 분리됐다.
부스터는 이전 시험과 달리 회수되지 않고 멕시코만 바다로 하강해 입수했다.
스페이스X 측은 이번 비행에서 로켓 부스터 회수를 시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회사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발사탑의 '젓가락 팔'을 이용한 부스터 회수는 수천 개의 기준이 충족될 때만 시도한다고 설명했다.
스타십의 2단 우주선은 약 65분간의 계획된 비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스타십은 시속 약 26,316km의 속도로 고도 190km에 도달한 후, 지구 궤도를 비행하며 대기권으로 재진입했다.
이후 스타십은 수직으로 방향을 틀며 바다로 부드럽게 하강해 착수(스플래시 다운)했다. 이전 비행들보다 안정적으로 착수 후 똑바로 서 있다가 서서히 바다에 눕는 모습을 보였다.
이번 비행에서 스페이스X는 스타십의 내구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대기권 재진입 시 고온에 노출되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재료를 적용했다.
또한, 우주선의 마지막 낙하 각도를 조정해 안정성을 높이는 실험을 진행했다.
발사 시간 또한 기존의 이른 아침에서 한낮으로 변경해, 우주선이 인도양 상공에서 하강할 때 햇빛 아래에서 더 잘 보이도록 했다.
특이한 점으로, 스페이스X는 이번 시험비행에서 스타십 내부에 바나나 한 개를 줄에 매달아 상태를 관찰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이는 향후 우주선에 화물을 적재할 경우를 대비해 실험적으로 시도한 것으로, 중계된 영상에서 바나나는 별다른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이번 발사 현장에는 미국 대통령 당선인 도널드 트럼프가 방문해 일론 머스크와 함께 발사 과정을 참관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머스크와 대화를 나누며 발사와 관련된 여러 질문을 쏟아냈고, 그 장면이 언론 사진에 포착되기도 했다. 머스크는 트럼프에게 로켓 모형을 이용해 직접 설명하는 모습도 보였다.
머스크는 스타십을 통해 화성 개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인류가 화성으로 이주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스타십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3단계 임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예정이다. 이는 반세기 만에 인류를 달에 보내기 위한 시도로, 스타십은 그 핵심적인 우주선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스타십은 길이 50m, 직경 9m로 내부에 최대 150톤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발사하는 '슈퍼헤비' 로켓은 길이 71m로, 스타십과 합체하면 발사체의 총길이는 121m에 이른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49385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취임 후 스페이스X 스타십 발사 규제 완화 전망… 연간 25회 가능성 제기 (2) | 2024.11.23 |
---|---|
스페이스X 스타십 6차 발사...한계를 시험한 도전과 성과 (2) | 2024.11.23 |
중국, 민간 우주기업 육성 위한 정책 개혁 가속화...규제 완화 지원 확대 추진 (3) | 2024.11.18 |
덴마크, 아르테미스 협약 48번째 가입국으로 합류 (4) | 2024.11.18 |
NASA JPL, 세 번째 대규모 정리해고 단행... 예산 압박 속 MSR 미션이 원인? (4) | 2024.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