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국내 중견기업들이 9조5천억 원 규모의 상조 시장에 잇달아 뛰어들며 업계 재편이 본격화되고 있다. 기존 시장 강자인 프리드라이프, 보람상조 등에 이어 코웨이와 웅진까지 가세하면서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웅진은 국내 1위 상조업체 프리드라이프의 인수를 위한 배타적 우선협상권을 확보했다.
인수 대상은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VIG파트너스가 보유한 지분으로, 드래그얼롱(동반매각청구권) 행사 시 사실상 100% 지분 인수가 가능하다.
프리드라이프는 작년 3월 말 기준 선수금 2조3천억 원을 보유한 업계 선두 기업이다. 웅진이 이번 인수를 마무리하면 단숨에 상조업계 1위 사업자로 도약하게 된다.
웅진 관계자는 “교육·IT·레저 등 기존 계열사와 상조 서비스를 결합한 신규 상품을 기획 중”이라며 “전국 영업망을 통합해 방문판매 조직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코웨이도 지난해 10월 ‘코웨이라이프솔루션’을 설립하며 상조 시장에 발을 들였다. 정수기·공기청정기 렌탈 사업에서 쌓은 구독 경제 노하우를 적용해 빠르게 시장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코웨이 라이프 599’와 ‘코웨이 라이프 499’ 등 렌탈·상조 결합 상품을 시범 판매 중이며, 올해 상반기 내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초고령화 사회 진입과 1인 가구 증가로 상조 서비스 수요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선불식 결제 방식으로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기업들에게 매력적으로 작용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상조업계의 선수금 규모는 작년 3월 말 기준 9조4천486억 원으로, 2020년 대비 60% 성장했다.
현재 프리드라이프가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으며, 보람상조(1조4천800억 원), 교원라이프(1조3천300억 원), 대명스테이션(1조2천600억 원) 등이 그 뒤를 잇는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상위 10개 기업이 전체 선수금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중견기업들의 진출로 중소업체들의 시장 입지가 더욱 위축될 것”이라며 “상위권 기업들도 멤버십 서비스와 차별화된 혜택을 강화하는 등 경쟁이 가속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코웨이·웅진, 9조원 상조 시장 진출…업계 재편 가속 < 산업 < 기사본문 - 산경투데이
코웨이·웅진, 9조원 상조 시장 진출…업계 재편 가속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국내 중견기업들이 9조5천억 원 규모의 상조 시장에 잇달아 뛰어들며 업계 재편이 본격화되고 있다. 기존 시장 강자인 프리드라이프, 보람상조 등에 이어 코웨이와 웅
www.sankyungtoda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풍, 고려아연 경영진에 4천억 손배소…투자 손실·부당 거래 의혹 (0) | 2025.02.25 |
---|---|
카카오페이·애플페이 개인정보 유출 논란…애플, 명확한 답변 회피 (0) | 2025.02.25 |
삼부토건, 법정관리 신청…건설업계 위기 고조 (0) | 2025.02.25 |
한국GM 노조 간부, 1억 원대 조합비 횡령 의혹…경찰 수사 착수 (0) | 2025.02.25 |
현대제철, 창사 이래 첫 부분 직장 폐쇄…노조 파업 장기화 여파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