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
지난해 국내 은행들이 사상 최대 순이익을 거둔 가운데, 정작 청년층 고용에는 인색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인터넷전문은행들은 신입 채용을 사실상 중단하고 경력직 위주의 인력 운용에 집중하면서 '고용 창출'이라는 사회적 책임을 외면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 중 신한·우리·하나은행은 지난해보다 신입 정기 공채 규모를 줄였다.
신한은행은 2023년 137명에서 올해 102명으로, 우리은행은 500명에서 382명으로, 하나은행은 441명에서 384명으로 채용 인원이 줄었다. 이는 각 은행이 당초 계획했던 채용 규모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반면 국민은행은 254명에서 260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고, 농협은행은 480명에서 1,260명으로 대폭 증가했다. 다만 농협은행은 올해 채용 인원을 미리 땡겨 지난해 조기 채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인터넷은행의 채용 방식이 도마에 올랐다. 카카오뱅크는 2020년 이후 5년간 정기 신입 채용을 하지 않았고, 토스뱅크는 최근 2년간 신입직원을 각 1명만 채용했다.
케이뱅크 역시 2022년 26명, 2023년 18명에서 올해 8명으로 채용 규모가 감소했다. 대신 이들은 수백 명 규모의 경력직을 채용했다.
이에 대해 카카오뱅크 측은 "정기공채 대신 채용형 인턴 제도를 통해 5년간 73명의 신입사원을 선발했다"고 해명했다.
김현정 의원은 "청년 체감 실업이 극심한 상황에서, 금융권이 이익만 추구하고 고용에는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금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해 4대 금융지주사의 순이익은 16조4,205억 원으로 역대 최대였으며, 인터넷은행들 또한 연이어 흑자를 기록하며 호실적을 이어갔다. 카카오뱅크는 4,401억 원, 케이뱅크는 1,281억 원, 토스뱅크는 457억 원의 순이익을 각각 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2163
은행들, 최대 실적에도 신입 채용 축소…인뱅은 경력 위주 채용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지난해 국내 은행들이 사상 최대 순이익을 거둔 가운데, 정작 청년층 고용에는 인색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인터넷전문은행들은 신입 채용을 사실상 중단하고 경
www.sankyungtoday.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권, ‘관세 충격’ 대응 기업 지원 강화...금리 인하·신규 대출 확대 (0) | 2025.04.08 |
---|---|
작년 자동차보험 4년 만에 적자 전환…비대면 보험사만 점유율 상승 (0) | 2025.04.06 |
트럼프 무역정책 여파에 뉴욕증시 폭락…팬데믹 이후 최대 하락 (1) | 2025.04.05 |
코스피 2,460선 후퇴…코스닥, 이차전지주 힘입어 상승 마감 (0) | 2025.04.05 |
트럼프 관세 발언 여파…SK하이닉스·삼성전자등 반도체株 급락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