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국내 면세업계가 지난해 연이어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업계 전반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고환율과 중국 보따리상(다이궁) 수수료 부담, 인천국제공항 임대료 문제 등이 맞물리면서 실적 부진이 심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13일 면세업계에 따르면 호텔신라가 운영하는 신라면세점은 지난해 매출 3조2,819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1.9% 증가했지만, 697억 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로 전환됐다. 이는 2020년 코로나19 발생 이후 4년 만의 영업손실이다.
신세계면세점 역시 매출이 2조60억 원으로 4.7% 증가했으나, 866억 원 흑자였던 전년도와 달리 359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현대백화점면세점도 9,721억 원의 매출을 올렸지만, 288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지속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국내 면세업계 1위인 롯데면세점의 경우 공식 실적 발표는 다음 달로 예정돼 있지만, 지난해 1~3분기 누적 영업손실만 922억 원에 달해 연간 1,000억 원대 적자가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2022년 기록한 1,395억 원대 영업손실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면세업계는 실적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고환율로 인한 판매 부진, 중국 보따리상 수수료 부담, 인천공항 임대료 상승 등을 꼽고 있다.
특히 중국 단체 관광객이 여전히 돌아오지 않으면서 매출 회복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업계는 올해 수익성 확보를 최우선 목표로 삼고 사업 전략을 전면 재조정하는 분위기다.
롯데면세점은 중국 보따리상과의 거래를 전면 중단하는 강수를 뒀다. 이에 따라 매출이 예년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지만, 수익성은 개선되는 추세로 알려졌다.
신라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은 개별 관광객 중심의 판매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신라면세점은 소매 판매 확대와 고정비 절감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사업을 개편 중이며, 신세계면세점은 캐세이 퍼시픽과 남방항공 등 해외 항공사, 메리어트 호텔과 제휴를 맺으며 개별 관광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현대백화점면세점 역시 온라인 판매 채널을 강화하며 내국인 고객 확보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올해 면세업계의 가장 큰 변수는 인천국제공항 임대료 부담이다. 기존 임대료 감면 혜택이 종료되면서 업계의 비용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여기에 원/달러 환율 상승과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업계는 더욱 신중한 경영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면세업계 관계자는 “중국 보따리상 중심의 수익 구조에서 벗어나 개별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판매 전략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 과제가 됐다”며 “특히 인천공항 임대료 부담을 어떻게 극복할지가 올해 실적 회복의 최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적자 늪 빠진 면세업계…환율·임대료 부담에 돌파구 모색 < 경제 < 기사본문 - 산경투데이
적자 늪 빠진 면세업계…환율·임대료 부담에 돌파구 모색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국내 면세업계가 지난해 연이어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업계 전반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고환율과 중국 보따리상(다이궁) 수수료 부담, 인천국제공항 임대료 문제
www.sankyungtoda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션업계, 다운·캐시미어 함량 허위 표기 논란 확산 (0) | 2025.02.14 |
---|---|
영세·중소가맹점 카드 수수료율 인하… 최대 0.1%p 낮아진다 (0) | 2025.02.13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예고…한국 철강업계 긴장 (0) | 2025.02.10 |
성남금토 공공분양, 발코니 면적 논란…C타입 입주자 반발 (0) | 2025.02.10 |
이디야커피, 3년 새 3번째 대표 교체…경영 불안·실적 악화 속 논란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