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박우진 기자]
국내 중견그룹 오너일가는 입사 후 평균 3.8년 만에 임원으로 승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기업 오너일가보다 빠른 속도로, 경영 참여에 있어 상대적으로 신속한 승진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중견그룹 상위 100곳(2023년 결산 기준, 자산총액 5조원 미만)의 오너일가 237명의 경영 참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중견그룹 58곳에서 오너일가 101명이 실제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평균 30.7세에 입사해 34.5세에 임원으로 승진했다. 대기업집단 오너일가의 평균 승진 시점인 34.8세보다 0.3년 빠른 것이다.
세대별로 보면, 중견그룹 오너일가의 자녀 세대는 평균 3.8년 만에 임원으로 승진해 부모 세대(3.9년)보다 0.1년 빨랐다. 대기업집단의 경우 자녀 세대(4.3년)가 부모 세대(4.5년)보다 빨랐지만, 중견그룹과 비교하면 승진 속도가 느렸다.
임원에서 사장단으로 승진하는 기간도 중견그룹 오너일가가 평균 12.3년으로, 대기업집단 오너일가의 12.9년보다 짧았다.
특히 중견그룹 자녀 세대는 평균 11.9년 만에 사장단에 올랐으며, 이는 대기업 자녀 세대(12.5년)보다 빠른 것이다.
입사 즉시 임원직을 맡은 경우도 적지 않았다.
중견그룹에서는 33명이 입사와 동시에 임원이 되었으며, 이는 전체 오너일가의 32.7%에 해당한다. 그룹별로 보면 대성그룹이 4명으로 가장 많았고, SPC그룹 3명, 현대그룹과 조선내화가 각각 2명이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김영민 SCG 회장,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허진수 SPC그룹 사장, 허희수 SPC그룹 부사장 등이 있다.
반면, 승진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 사례도 있었다.
함영준 오뚜기 회장은 19세이던 1977년 입사해 22년 후인 1999년에 임원으로 승진하며 가장 긴 시간이 소요됐다. 윤여원 콜마비앤에이치 사장은 13.5년, 구자훈 LIG문화재단 이사장은 13년, 구자준 LIG손해보험 전 회장은 12.9년, 박훈 휴스틸 대표이사는 12.3년이 걸려 상대적으로 긴 승진 기간을 기록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1105
중견그룹 오너일가, 대기업보다 빠른 승진…평균 3.8년 만에 임원
[산경투데이 = 박우진 기자]국내 중견그룹 오너일가는 입사 후 평균 3.8년 만에 임원으로 승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기업 오너일가보다 빠른 속도로, 경영 참여에 있어 상대적으로 신속
www.sankyungtoda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진칼, 경영진 보수 한도 120억 원으로 인상…논란 확산 (0) | 2025.03.05 |
---|---|
공정위, 한화 산업용 화약 대리점 운영 의혹 재조사 착수 (0) | 2025.03.05 |
공정위, 롯데홈쇼핑 등 계열사 현장조사…부당지원 의혹 조사 착수 (0) | 2025.03.04 |
제주항공 여객기, 기상 악화·기체 결함으로 청주공항 회항 (0) | 2025.03.04 |
홈플러스, 경영난 속 회생절차 돌입… MBK파트너스에 직격탄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