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국내 대기업, 기술·연구직 CEO 감소…관리형 경영자 증가 추세

by 산경투데이 2025. 3. 19.
반응형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

국내 주요 대기업에서 기술·연구직 출신의 최고경영자(CEO) 비중이 줄어드는 반면, 경영·재무 등 관리형 CEO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19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 중 470개 기업의 대표이사 이력을 분석한 결과, 기술·연구직 출신 CEO의 비중은 28.4%로 나타났다.

이는 3년 전 31.8%에 비해 3.4%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생산·구매 등 현장직 출신 CEO도 4.6%에서 3.3%로 줄어들었다.

반면, 경영·재무 등 관리형 CEO의 비율은 46.9%에서 49.8%로 증가해 절반에 가까운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자산 총액 5조 원 이상인 대기업집단 소속 기업에서는 이 같은 경향이 더욱 뚜렷했다. 대기업집단 대표이사 중 기술·연구직 출신 비율은 3년 전보다 4.6%포인트 감소한 16.2%에 그친 반면, 경영·재무 출신 비율은 58.6%로 5.0%포인트 증가했다.

대기업집단에 속하지 않은 기업군에서는 기술·연구직 출신 비중이 39.9%로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이 역시 3년 전보다 2.1%포인트 줄었다.

CEO의 대학 전공에서도 유사한 변화가 감지됐다. 경영·경제학 전공자의 비율은 27.3%에서 29.9%로 증가했지만, 전기·전자공학(7.9%→6.8%), 기계공학(4.6%→4.2%), 산업공학(3.2%→2.7%) 등 이공계 출신 비율은 감소했다.

또한, CEO의 출신 대학을 분석한 결과,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이른바 'SKY' 대학 출신이 전체의 46.0%를 차지했다. 이 중 서울대 출신이 22.5%로 가장 많았으며, 연세대(12.7%)와 고려대(10.8%)가 뒤를 이었다.

한편, 조사 대상 기업 CEO의 평균 연령은 59.6세로, 3년 전 58.4세보다 1.2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EO스코어 관계자는 "세계 주요 기업들이 AI와 로봇 기술 발전에 맞춰 엔지니어 출신 CEO를 전면에 내세우는 추세와는 대조적인 결과"라며, "국내 기업이 기술 혁신보다는 안정적인 경영 운영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산경투데이

단독, 우주, 산업, 경제, 시사, 금융, 전국, 기사 등 수록

www.sankyungtoday.com

 

 

국내 대기업, 기술·연구직 CEO 감소…관리형 경영자 증가 추세 < 재계 < 산업 < 기사본문 - 산경투데이

 

국내 대기업, 기술·연구직 CEO 감소…관리형 경영자 증가 추세

[산경투데이 = 이준영 기자]국내 주요 대기업에서 기술·연구직 출신의 최고경영자(CEO) 비중이 줄어드는 반면, 경영·재무 등 관리형 CEO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기업데이터연구

www.sankyungtoda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