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
동해안 지역에서 석탄 화력발전소를 운영하는 대기업 투자 민간 발전사들이 전력망 건설 지연으로 인해 막대한 손실을 입고 있다며 한국전력을 상대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강릉에코파워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민간 발전소가 잘못 없이 부도 위기에 몰리는 것은 부당하다"며 "법률 검토 결과, 이 문제를 다툴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강릉에코파워는 삼성물산이 29%의 지분을 보유한 발전사로, 최근 전력망 문제로 인해 가동률이 급감하며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29% 지분을 보유한 삼척블루파워 역시 공정위 제소 여부를 신중히 검토 중이다.
삼척블루파워 관계자는 "현재 공정위 제소를 주도하는 곳은 강릉에코파워로 알고 있으며, 우리 회사는 아직 관련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전했다.
동해안 지역은 원자력·화력발전소가 밀집해 있으나, 수도권 등 수요 지역으로 전력을 공급할 송전망이 부족해 발전소 가동이 원활하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강원도를 중심으로 원전 8.7GW, 석탄 7.4GW 등 총 18GW 규모의 발전 설비가 있지만, 해당 지역의 송전망 용량은 11GW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정부와 한전이 2026년 6월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초고압직류송전(HVDC) 방식의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가 개통되기 전까지는 송전 제약 문제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전력거래소는 경제성을 고려해 원전이 우선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석탄 화력발전소인 강릉에코파워와 삼척블루파워의 가동률은 20~30% 수준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강릉에코파워와 삼척블루파워는 2023년부터 순차적으로 상업 운전에 들어갔으며, 각각 약 5조 원의 자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이다. 그러나 전력망 문제로 인한 저조한 가동률로 인해 매년 수천억 원대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사업 지속성에도 위협이 되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다.
강릉에코파워 관계자는 "송전 제약이 심화하면서 운영을 보완해달라고 여러 차례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불가피하게 공정위 제소를 검토하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전력망 확충 지연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 체계 유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완공된 345kV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는 계획보다 12년 6개월이나 늦어진 국내 최장 지연 전력망 사업으로 기록됐다.
해당 송전선로는 태안화력발전소 전력을 충남·경기 남부에 공급하는 핵심 시설이었지만, 지역 주민 반대와 지방자치단체의 비협조로 인해 공사가 장기화됐다.
이 밖에도 신한울 원전과 연결된 500kV 동해안신가평 초고압직류송전선로와 당진화력발전소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는 345kV 당진화력신송산 송전선로 역시 각각 5년 6개월, 7년 6개월씩 지연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전력은 "전력거래소가 경제성을 바탕으로 전력을 구매하는 구조이며, 한전이 특정 발전사의 전력을 임의로 우선 구매할 수 없다"면서 "동해안 민간 발전사의 어려움을 인지하고 있으며, 불합리한 제도가 있다면 정부 및 관계 기관과 협의해 개선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 건설을 조속히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 산경투데이 https://www.sankyungtoday.com
전력망 지연 피해… 동해안 발전사들, 한전 제소 검토 < 에너지/화학 < 산업 < 기사본문 - 산경투데이
전력망 지연 피해… 동해안 발전사들, 한전 제소 검토
[산경투데이 = 한승수 기자] 동해안 지역에서 석탄 화력발전소를 운영하는 대기업 투자 민간 발전사들이 전력망 건설 지연으로 인해 막대한 손실을 입고 있다며 한국전력을 상대로 공정거래위
www.sankyungtoda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그룹, 지난해 매출 400조원 근접…‘10조 클럽’ 7개 계열사 포함 (0) | 2025.03.20 |
---|---|
SK하이닉스, AI 반도체 호황 속 재무 개선…미국 매출 2.8배 성장 (0) | 2025.03.20 |
젠슨 황, 블랙웰 울트라에 삼성 참여 기대… 'HBM 기술 테스트 중' (0) | 2025.03.20 |
엘앤에프, 미트라켐에 145억 투자…미국 LFP 생산 본격화 (0) | 2025.03.20 |
최주선 삼성SDI 대표, 자사주 매입…책임경영 의지 표명 (0) | 2025.03.20 |